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 등록일2024-08-19
  • 조회수114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본문


→︎ 2024년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기구인제조나노물질 작업반(WPMN, Working Party on Manufactured Nanomaterials) 다양한 응용 분야(화장품, 의약, 농업)에 사용되는 나노 캐리어에 관한 제 1회 WPMN 워크숍 보고서를 발간


●︎ WPMN은 나노 캐리어에 대해 논의하고 OECD의 첨단 소재의 개발 또는 사용 초기 단계의 잠재적 안전성, 지속 가능성 및 규제 문제를 식별하고 설명하는 시스템인 Early4AdMa를 활용하여 안전 및 지속 가능성과 관련한 지식 격차 및 우려되는 징후 파악


→︎ 나노캐리어


●︎ 나노캐리어의 종류와 응용

-나노캐리어는 다양한 재료와 크기 범위(1000nm2)로 제작이 가능하며 기능성 부여 가능

-Giese 박사(오스트리아 University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s (BOKU))는 132가지의 나노캐리어를 분류했으며, 여러 나노캐리어는 두 가지 이상의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어 더 많은 나노캐리어가 개발 중


●︎ 나노캐리어 합성 개요

-나노캐리어는 활성제가 탑재된 콜로이드 나노시스템으로, 지질 기반, 무기나노입자, 고분자 나노입자로 분류 가능


●︎ 나노캐리어 연구 소개

나노캐리어 연구 소개

나노캐리어 연구 소개


(안전성 평가 : 인체 건강) 은나노입자(운반체)에서 비롯되며, 셀룰로오스 캡슐로 인한 우려는 미확인되어 다른 종류의 확물의 경우 안전성 평가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음을 강조


(안전성 평가 : 환경) 은나노입자는 수생 생물에 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환경 문제, 잠재적 방출 가능성, 은이온의 환경 방출 가능성 존재


(규제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 나노캐리어의 특성 인체 건강 및 환경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 시험 방법과 지침 필요성 강조


(워크숍 후속 조치에 대한 피드백)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료나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성, 제조, 생산, 사용 과정에서 에너지, 물, 토지 소비 수요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응답 다수 존재


●︎ 의약용 나노캐리어 유형 : 화학요법제로서 독소루비신 캡슐화 리포솜 중심

의약용 나노캐리어 유형

 

(안전성 평가 : 인체 건강) 독성이 강한 활성 성분에 의한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으며 리포솜 담체에 따른 위험 가능성과 관련된 합성 부산물에 대한 다수의 의문이 제기되었고, 소비자 및 일반 대중의 노출 가능성은 저조


(규제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 분석과 시료 준비, 특성 분석에 대한 방법 및 기술에 대한 표준 확립 필요


(워크숍 후속 조치에 대한 피드백) 활성 성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노캐리어의 조합/다성분 특성에 의한 환경 유해성에 대한 우려 다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