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PBMA Brief 26호] 글로벌 신약기술 및 최신 연구개발 동향
- 등록일2024-08-26
- 조회수362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4-08-14
-
출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제약바이오
- 첨부파일
[KPBMA Brief 26호]
제약바이오분야 글로벌 유망 기술 트렌드 분석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은 현재 1조 3,000억 달러 시장규모로 성장했으며 2028년까지 5.7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테크놀로지는 기존 의약품 기술2)을 따라잡고 있으며 향후 신규 모달리티(New Modality)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향후 유망한 바이오테크놀로지와 글로벌 투자의 흐름을 파악할 필요가 있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글로벌 컨설팅사인 이벨류에이트 파마(Evaluate Pharma)를 통하여 주요 기술들을 도출, 해당 동향을 일부 소개하고자 한다.
■︎ 조사 개요
기술의 조사 및 선정은 이벨류에이트 파마 (Evaluate Pharma)에서 제공하는 기술 분류 대-중-소 분류표를 기반으로 델파이 기법3)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중분류에 해당하는 주제 중 전문가들이 선택한 8가지 주제가 1차적으로 선정되었다. 이 8가지 주제를 통해 이벨류에이트 파마(Evaluate Pharma)에서는 글로벌 상위 25개 제약바이오 기업4)에서 활발히 투자하고 있는 기술들의 유형을 주제별(중분류) 3개의 하위 유망기술로 도출하였다.
■︎ 각 기술의 주제별 동향
1. DNA & RNA 치료제(therapeutics)
DNA & RNA 치료제에서는 RNA 간섭 (RNA interference),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Antisense oligonucleotides, ASO), 압타머 (Aptamer)가 하위 유망기술로 선정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2025-04-07
- BioINwatch AI 신약개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한계인가? 2024-12-12
- BioINpro [바이오 신약] 인공지능과 구조 기반 신약개발: 기회와 도전 과제 2024-08-23
- BioINwatch 글로벌 반도체기업 NVIDIA, 신약개발 AI 파운데이션 모델(BioNEMO)의 클라우드 서비스 발표 2024-04-25
- BioINglobal AI 활용을 통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GT) R&D의 가속화 방안 2023-11-16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