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지속 가능한 식물병 저항성 증대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 등록일2025-04-15
- 조회수499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5-03-3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지속 가능한 식물병 저항성 증대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NR→ R&D Brie→-2025-12호]
◈본문
1 식물병 저항성이란?
○ 인류가 정주 생활과 농업 활동을 하면서부터 식물을 숙주(기주)로 하는 병원미생물(세균, 진균, 바이러스, 선충 등) 및 해충과 먹거리를 두고 소리 없는 전쟁을 하고 있음.
○ 생존과 번식을 위해 작물화 및 식물 육종 과정에서 숙주(기주)-기생체 상호작용에 의한 공진화로 진화한 많은 수의 유전자를 식물이 상실하게 되면서 근래에 이르러 생물자원의 보전과 개발의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
○ 산업혁명 이후 비료와 농약의 개발은 식물의 병·해충을 관리하여 안정적 식량 생산 기반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그 반대급부로 발생한 환경오염과 병·해충 농약에 대한 저항성 병원균의 증가는 화학적 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전략의 필요성과 식물 육종을 통해 병에 강한 식물을 개발해야 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유가 되고 있음.
○ 병원미생물 침입을 인식하고 식물이 가지고 있는 방어반응(면역반응)의 활성화를 통하여 식물에서 병원균의 생장과 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식물병 저항성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음.
○ 전통 육종이 자리 잡으면서 인류는 멘델 유전학에 기초를 둔 단일유전자에 의하여 조절 되는 수직저항성과 다수의 유전자에 의하여 조절되는 수평저항성을 갖는 식물을 육성 하고 있음.
→ 급격한 기후 변화, 도시화, 그리고 작물재배 환경의 변화에 따른 (re)-emerging 병원균에 의한 식물병 대발생은 전 세계 식량 안보에 큰 위협요인임. 이는 종 다양성 감소 및 병·해충 관리 비용의 증가, 그리고 인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손실량: 벼- 30.3%(24.6~40.9%), 감자-17.2% (8.1~21%)) (Savary et al., Nature Ecology & Evolution, 2019) → 식물 면역반응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음. |
→ →lor, H. H가 기주의 병 저항성과 병원체 병원성의 유전학적 이해에 대한 ‘유전자 대 유전자 가설(gene-→or-gene hypothesis)’을 제안한 이후 (→lor 1971), 20여 년의 시간이 지나 식물 에서 R 유전자가 분자적으로 클로닝되면서 ‘유전자 대 유전자 이론’에 기초한 식물-미생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었음. → 약 30년 전 식물에서 면역 수용체가 최초로 규명된 이후 병 저항성 식물 개발은 pattern recognition receptor(PRR)와 병 저항성 단백질(disease resistance protein)을 활용한 전통 육종과 생명공학적 육종법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음. 이러한 연구는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 전장 유전체가 분석된 이후 급 격한 연구 발전이 이루어졌음. (Bent et al., Science, 1994; Jones et al., Cell, 2024) → 모델 식물을 이용한 심화 연구를 통해 현재 상기 언급한 네 가지 식물 면역반응 중 PTI와 ETI가 상호반응을 통해 감염 부위 식물 면역을 극대화하고, 이러한 국부적 면역 활성이 전신 면역 신호전달을 야기한다는 것이 밝혀졌음. → ETI에 관여하는 NLR(NOD-LIKE RECEPTOR 또는 NBS-LRR RECEPTOR) 단백질의 경우 동물의 apoptosome, in→lamasome을 구성하는 NLR 단백질과 유사하게 여러 개의 분자가 바퀴형 단백질 중합체인 resistosome을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졌음. → 최근 들어 식물에서 pan-genome 분석을 통하여 병 저항성 유전자를 다량 발굴하고, 오믹스 연구에 기반을 두고 야생형과 재배종에서 병 저항성 유전자를 발굴한 바, 이의 도입을 통한 병 저항성 식물 육종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 (Barragan and Weigel, Plant Cell, 2021; Liu et al., BioRxiv, 2023) → 최근 국내 연구자인 손OO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에서 야생종 가지과 식물인 Solanum americanum의 계통에 대한 re→erence genome을 완성하고 52개의 계통을 재시퀀싱하여 NLR 유전자라는 면역 수용체 유전자 집합인 pan-NLRome을 대량으로 발굴함과 동시에 Phytophthora. in→estans RXLR를 갖는 e→→ector에 대한 인식반응을 분석함. -->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특정 P. in→estans RXLR 효과기(PITG_22825, PITG_ 02860, PITG_04373)를 인식하는 Rpi-amr4, R02860, R04373이라는 세 가지 NLR 유전자를 클로닝함. → 이러한 식물 자원과 pan-genome 분석을 통하여 병 저항성 품종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병 저항성 유전자 소재를 발굴하는 것이 인류 증가에 대비한 안정적 식량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함.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