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5년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격차, 불평등 증가 대응을 위한 미래유망기술-
- 등록일2015-05-22
- 조회수478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5-1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10대 미래유망기술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년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격차, 불평등 증가 대응을 위한 미래유망기술-
요 약 문
Ⅰ. 제목
2015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Ⅱ. 연구목적
○ 한국사회의 변화를 전망하고, 미래 이슈와 니즈를 도출하여 변화된 미래 사회에서 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를 크게 미칠 유망기술 선정
- 이슈 파악을 위해 소셜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헌조사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미래이슈를 도출, 이에 따른 미래사회 니즈를 발굴
※ 올해는 한국사회 격차, 불평등의 증가를 핵심이슈로 선정, 의료·정보·에너지·문화/교육 분야의 격차, 불평등 증가에 주목
- 니즈 충족을 위해 필요한 미래 기술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우선순위 평가를 통해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하여 제시
○ 선정된 미래 유망기술에 대해서는 일선 연구자, 민간 기업, 정책 입안자가 R&D 기획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정보 제시
- 기술특성, 개발현황 뿐 아니라, 미래 활용 모습과 경제적·사회적 파급 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국내외 미래기술 선정 주요사례 검토
○ 세계경제포럼, MIT, IBM 등은 5~10년간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와 혁신을 이끌 와해성 기술, 차세대 전략적 기술, 파괴적 혁신기술 등 발굴
- IBM, 씨티은행, MIT 등은 향후 우리 경제?사회에 많은 변화를 이끌 혁신기술, 와해성 기술을 발굴
- 세계경제포럼, 가트너, KISTI 등은 유망 부상기술, 전략적 확보기술, 경제적 유망기술 등 산업적으로 유망한 기술 제시
○ 2013~2014년에는 3D 프린팅, 사물인터넷, 웨어러블기기, 드론 등이 미래혁신기술로 공통적으로 주목을 받음
- 특히, 올해의 3D 프링팅 기술은 경제?산업적 파급효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변화를 가져올 미래기술로 주목
- 신재생에너지 관련기술과 스마트그리드 등 미래에너지기술은 최근 몇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미래유망기술로 관심을 받고 있음
○ 주로 전문가 위원회, 설문, 평가 등을 활용하고 더불어 빅데이터나 특허?논문 등의 분석을 수행
○ 미래기술 선정을 위해 경제적·산업적 파급효과, 사회적 파급효과, 트렌드·이슈 부합성, 기술적 혁신성 등을 기준으로 유망기술을 선정
□ 미래 유망기술 선정방법 및 단계별 주요내용
○ 2015년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은 크게 미래 환경변화 전망을 위한 격차, 불평등 증가의 이슈 분석과 대응을 위한 미래유망기술 도출로 구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