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제7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 및 제2회 BT 전문가 좌담회 개최

  • 등록일2009-03-25
  • 조회수2581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한국생물공학회
  • 행사장소
    포항공과대학교 국제관 2층 그랜드볼룸
  • 행사기간
    2009-04-09
  • 원문링크
  • 첨부파일
제7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 및 제2회 BT 전문가 좌담회 개최
 
 
 
제7회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 개최
 
행사의 취지
□ 향후 우리나라의 BT가 나가야 할 방향과 정책추진방향에 대한 검토
 ○ 새로운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패러다임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기초한 BT 전략의 추진이 절실
□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BT분야학‧연‧산 오피니언 리더들의 자유로운 의견 교환
 ○ BT분야 당사자들의 BT 육성방향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그 주체로서의 자부심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행사 개요
□ 행사일정
 ○ 일  시 : 2009. 4. 9(목), 15:00∼16:40
 ○ 장  소 : 포항공과대학교 국제관 2층 그랜드볼룸
 ○ 주  최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한국생물공학회
 ○ 주  제 : “국가 BT, 그 나아갈 길과 전망”
    - 주제발표 : 배 은희 의원(한나라당 국회의원)

    - 패널토론(3명)
       김철하 부사장(CJ 제일제당 바이오 BU(Business Unit)장)
       이정진 소장(대웅제약 바이오연구소)
       최흥국 단장(인제대 교수, 산학협력단)
       ※ 패널토론자는 가나다 순임
 

제2회 BT 전문가 좌담회 개최

행사의 취지
□ 바이오산업의 국가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 정립 및 활성화 방안의 모색
 ○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문제점,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 및 공개토론을 추진
 
행사 개요
□ 행사일정
 ○ 일  시 : 2009. 4. 9(목), 17:00 ∼ 18:30
 ○ 장  소 : 포항공과대학교 국제관 2층 그랜드볼룸
 ○ 주  최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한국생물공학회
 ○ 주  제 : “바이오산업, 국가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 국내 바이오산업의 문제점
       ▸ 바이오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되는데 있어서의 Bottleneck
     - 국내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방안
       ▸ 인력양성, 벤처기업 육성, 제도적 개선사항, 산학연 프로그램 개발 등
 
□ 토론자 명단(4명)
      김명진 상무(LG생명과학 의약개발센터장)
      배은희 의원(한나라당 국회의원)
      브라이언 김 수석부사장(셀트리온)
      이선복 회장(한국생물공학회, 포항공대 교수)
       ※ 토론자는 가나다 순임
 
 
행사 세부일정
□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 및 BT 전문가 좌담회(15:00~18:30)
 
                                                                                  사회 : 현병환(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시간
주요 내용
비   고
I. 생명공학정책연구포럼
15:00-15:05
(5분)
참석자 소개
 
15:05-15:35
(30분)
 주제발표
“국가 BT, 그 나아갈 길과 전망”
배은희 의원
(한나라당 국회의원)
15:35-15:55
(20분)
 패널토론
패널 3명(7분/명)
15:55-16:35
(40분)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16:35-16:40
(5분)
 단체사진촬영
 
16:40-17:00
(20분)
 Break Time
 
 II. BT 전문가 좌담회
   - 주제 : 바이오산업, 국가기간산업으로서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17:00-17:05
(5분)
 참석자 소개
 
17:05-17:25
(20분)
 주
 제
 토
 론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황
전문가 4명(5분/명)
17:25-17:45
(20분)
국내 바이오산업의 문제점
전문가 4명(5분/명)
17:45-18:05
(20분)
국내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방안 
전문가 4명(5분/명)
18:05-18:25
(20분)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18:25-18:30
(5분)
 단체사진촬영
 
 
 마무리 및 폐회
 
※ 언론사 배석 예정(대덕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