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신약개발 관련 심포지엄 공고 - Strategy for Global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 등록일2010-10-18
  • 조회수3447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 행사장소
    청주 라마다 호텔
  • 행사기간
    2010-10-22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10 년 추계 대한약학회가 10 월 21 일, 22 일에 청주에서 열립니다.  둘째날 (22 일) 오후에 글로벌 제약회사에 근무하시는 연구자분들을 모시고 아래와 같이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지난 2 월 대전 스파피아 호텔에서 큰 호응을 받았던 심포지엄 시리즈의 2 차 심포지엄입니다.  많은 분들의 참석을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 및 대한약학회 홈페이지(http://www.psk.or.kr/)를 참고하시거나 곽영신(내선번호: 6108)에게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심포지엄 공고

 

Strategy for Global Drug Discovery & Development

 

장소: 청주 라마다 호텔

시간: 14:00 - 18:00

 

심포지엄 소개글:

 

블록버스터형 신약개발의 한계에서 비롯한 연이은 악재 및 투자 대비 자본회수율의 저조현상에 의해 글로벌 제약산업은 큰 몸살을 앓고 있으며, 소량 다품종, 희귀질환, 맞춤형 의약 개발등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또한, 생물학적 제제는 미래 제약산업의 큰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으며, 비교적 개발단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항암제 개발은 계속해서 신약개발 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나가고 있다. 이번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전략" 심포지엄에서는, 글로벌 제약산업의 현장에서 신약개발 업무를 담당 및 수행하고 있는 해외 과학자들을 초청하여 강연 및 공동 토의를 갖는다. 한미 FTA 에 의한 한국제약산업의 위기속에 혁신 신약(first-in-class) 개발이 돌파구로서 크게 대두되고 있고, 이제는 국내 신약개발 연구가 글로벌 제약시장 진출을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글로벌 제약회사의 신약개발 연구 내용들에 대해 직접 들어보는 것은 뜻 깊은 기회라 할 수 있다. 본 심포지엄에서 연자들은 그 동안 꾸준히 성장한 한국 생명과학 기반을 신약개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전략, 글로벌 생물학적 제제 신약개발 연구에 대한 대처, 항암제 신약개발 연구의 도전과 기회, 신약개발에 있어서 DMPK 의 역할 및 그 실례, 신약개발 연구산물의 해외 기술이전 전략 및 고려사항 등에 대하여 발표를 할 예정이다. 격동하는 글로벌 제약산업의 동향과 전망속에 한국 제약산업의 기회는 어디에 있는 가에 대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