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교육
High-amplitude cofluctuation의 대뇌 functional connectivity에서의 역할
- 등록일2020-12-21
- 조회수2611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Online 개최
-
행사기간
2021-01-18
- 원문링크
-
첨부파일
High-amplitude cofluctuation의 대뇌 functional connectivity에서의 역할
[Proc. Natl. Acad. Sci. USA]
일시 : 2021년 1월 18일 (월)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 조영흔 (Indiana University)
약력 : PDF (213 KB)
진행 :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세미나 개요
뇌과학에서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rsFC) 와 관련된 연구는 뇌의 발달, 질환, 그리고 인지에 대한 주요한 연구 데이터로 사용되어왔습니다. 그러나, 그 correlated된 활동의 기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점이 한계로 지적되어왔습니다. 이런 학문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rsFC를 시간적으로 분해하는, moment-to-moment (frame-wise)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매순간 변화하는 뇌의 네트워크 구성과 rsFC로 살펴보는 BOLD (blood oxygen level-dependent) time series간의 공변화를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가장 강렬한 BOLD time series의 진폭을 나타낸, 소수의 time frame들에 대해 확인한 것들 입니다. 1) rsFC가 이런 고진폭의 “이벤트”들로 drive된다는 점, 2) 고진폭의 time frame들이 task-positive/negative mode들로 drive된다는 점, 3) subject간의 whole-brain 고진폭 time frame들이 syncronized된 점, 4) 저진폭 time frame들에 비해 idiosyncratic함을 확인하였습니다.
Functional connectivity를 Pearson correlation으로 측정 시간에 대한 평균값으로 나타내는 기존 방식에 반해, 이 연구에서는 FC를 순간 순간의 cofluctuating “snapshot”으로 전환시켜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분석법은 rsFC가 측정하는 뇌의 실제적 activity와의 실시간 대응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들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첫 접속시 Webex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합니다(약 10초 소요).
○ 회당 정원은 100명 미만으로 열립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50분이며, 연사발표 30분, 질문 및 토의 2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한국어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member@ibric.or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