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교육
폐암에서의 핵당 및 아미노당의 역할
- 등록일2021-09-01
- 조회수1921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Online 개최
-
행사기간
2021-10-01
- 원문링크
-
첨부파일
폐암에서의 핵당 및 아미노당의 역할
일시 : 2021년 10월 1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 김지연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진행 : 발표 4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세미나 개요
폐암은 전체 암 사망자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위험한 질병입니다. 암을 유발하는 ‘KRAS 유전자’나 억제하는 ‘LKB1 유전자’에 이상이 생긴 경우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두 유전자에 모두 돌연변이가 생기면 전이가 쉬운 악성 폐암이 된다는 보고가 쥐 실험 그리고 실제 환자의 예후를 통해 보고가 되었지만, 이들 유전자엔 약물이 잘 듣지 않아 현재까지 근본적 치료법이 없었습니다.
저희 연구팀에서는 암이 생성될 때 대사기작에 큰 변화가 있음에 염두를 두고 메타볼로믹스와 유전정보학을 융합하여 두 유전자에 동시에 이상이 생겼을 때만 아미노당과 핵당대사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는 헥소사민 생합성이 증가함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으로 그 부분에 대해서는 웹 세미나를 통하여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세포주 실험 후 폐암을 일으킨 쥐의 헥소사민 생합성 효소를 조절해 암 성장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실험에도 성공했고 특히나 예전 항암치료제로 사용되었던 헥소사민 생합성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유전자변이 쥐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model) 에서 치료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KRAS와 LKB1 유전자 모두에 이상이 생긴 KL유형 폐암 환자는 전체 환자 중 10% 정도지만, 사실상 치료가 어렵던 환자들인데 이번 연구는 악성 암의 발병 기작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전이가 심한 폐암 환자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첫 접속시 Webex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합니다(약 10초 소요).
○ 회당 정원은 200명 미만으로 열립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50분이며, 연사발표 40분, 질문 및 토의 1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한국어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member@ibric.org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