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교육
2021 바이오혁신 성장대전
- 등록일2021-12-14
- 조회수2446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행사장소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2,3홀
-
행사기간
2021-12-22 ~ 2021-12-24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21 바이오 미래포럼
□ 행사 개요
○ (일시/장소) 2021.12.23(목) 9:20 ~ 17:20 / 일산 킨텍스 그랜드볼룸 B홀
○ (슬로건) Pax Technica 시대 K-바이오
시간 |
강연주제(안) |
비고 |
09:20∼09:30 (10‘) |
포럼 안내 |
|
09:30∼09:50 (20‘) |
개회사 및 축사 개회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용홍택 차관 축 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장성 원장 |
|
09:50∼10:20 (30‘) |
바이오유공자 포상 |
|
10:20∼11:20 (60‘) |
(R&D 세션) 글로벌 게임 체인저를 향한 ‘연구·혁신(R&I)‘ ► 기술이 지배하는 ‘팍스 테크니카(Pax Technica) 시대’에 대응하는 국가 차원의 바이오 과학기술 역량 확보 방안은? |
|
① 디지털 전환 및 딥테크 기술융합 트렌드
∙바이오에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개방·융합을 통한 차세대 바이오기술 트렌드를 알 수 있는 사례, 중요성, R&D 전략 등 |
이도헌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
|
② 글로벌 기술블록화 대응 합성생물학 기술육성 방안
∙글로벌 기술블록화가 예상되는 합성생물학, 마이크로바이옴, 오가노이드 등 바이오의 획기적 변화와 혁신을 가져올 전략기술에 대한 정책적 추진현황 및 발전방향 |
이승구 단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③ 빅데이터 기반 중개연구 전략
∙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등 정밀의학, 맞춤의료 등을 위한 중개연구 트렌드 및 효율화 방안 |
김열홍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 |
|
11:20∼11:25 (5‘) |
< 패널석 셋팅 > |
사회자 안내 |
11:25∼12:05 (40‘) |
패널 토론 ※ 패널(안) :김선영 센터장(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현철 단장(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신용욱 상무(CJ 제일제당) |
좌장 : 오두병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2:05∼13:30 (85‘) |
< 점심 시간 > |
|
13:30∼14:30 (60‘) |
(산업화 세션) K-바이오 글로벌 진출 전략 ► 바이오산업 제조혁신, 라이프 사이언스 4.0 시대에 대응하여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K-바이오산업의 역량강화 방안은? |
|
① K-바이오 기술확보 및 수출 전략
∙ 최근 전략 단계로 화두가 되고 있는 기술이전 다음 단계로서 공동개발, M&A 현황 등 글로벌 기술수출 전략 |
묵현상 단장 (국가신약개발 사업단) |
|
② 글로벌 임상 접근 전략
∙ 빅데이터, AI 등 첨단기술의 글로벌 임상시험, 가상임상에 적용하는 사례 등 국내외 CRO 기업의 디지털화 추세·전망 |
김나현 차장 (메디데이터) |
|
③ 빅데이터 클라우드-제약사 간 콜라보 전략
∙ 빅테크 기업에서 바라보는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점, 빅테크-바이오기업 간 콜라보 전략 등 |
이동훈 대표 (코이헬스케어) |
|
14:30∼14:35 (5‘) |
< 패널석 셋팅 > |
사회자 안내 |
14:35∼15:15 (40‘) |
패널 토론 ※패널(안) : 김명희 전무(아이큐비아), 정철웅 연구소장(레고켐바이오), 최창주 이사(한미약품) |
좌장 : 오기환 전무 (한국바이오협회) |
15:15∼15:30 (15‘) |
< Break time > |
|
15:30∼16:30 (60‘) |
(규제·제도 세션) 글로벌 바이오 규제조화 방향 ►불확실성이 커지는 미래 환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안정적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국내 바이오 규제·제도 전략방향은? |
|
① 국내외 바이오 데이터 규제 현황
∙의료 영역을 포함한 바이오 전 영역의 데이터 규제 현황 및 트렌드, 데이터 플랫폼, 표준화 등을 포함한 거버넌스적 관점에서의 국내 발전방향 등 |
유소영 교수 (서울아산병원) |
|
②K-바이오 글로벌 특허 전략
∙최근 바이오 특허 분쟁이슈 및 글로벌 특허장벽 돌파전략 ∙인공지능, 디지털 융합 등 첨단기술 적용 바이오 기술·제품의 지재권 확보 전략 등 향후 바이오 신기술 특허전략 등 |
정지혜 변리사 (하나특허법인) |
|
③K-바이오 규제과학 정책 방향
∙최신 바이오 규제 이슈(신문고 등) 및 국내외 규제정책 트렌드, 신기술 적용 관련 법·제도 현황, 애자일 규제혁신 등 규제과학 연구 필요성 및 정책방향 등 |
김흥열 센터장 (국가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
|
16:30∼16:35 (5‘) |
< 패널석 셋팅 > |
사회자 안내 |
16:35∼17:15 (40‘) |
패널 토론 ※패널(안) :이재훈 변호사(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윤경애 변리사(법무법인 율촌), 송승재 대표(라이프시맨틱스) |
좌장 : 이명화 본부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17:15∼17:20 (5‘) |
폐회 |
사회자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