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인슐린 수용체-압타머 결합 구조를 통해 밝혀진 인슐린 수용체의 선택적 활성화 기작 [Nat. Commun.]

  • 등록일2022-12-09
  • 조회수4903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Online 개최
  • 행사기간
    2022-12-19
  • 키워드
    #인슐린
  • 첨부파일

 

 

인슐린 수용체-압타머 결합 구조를 통해 밝혀진 인슐린 수용체의 선택적 활성화 기작 [Nat. Commun.]


 

일시: 2022년 12월 19일 (월)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윤나오 (POSTECH)

약력: PDF (318 KB)

진행: 발표 30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세미나 개요

인슐린 수용체는 포도당 흡수와 같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함과 동시에, 세포 분열, 성장 및 생존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인슐린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인슐린 수용체가 활성화되고, 이 기능이 모두 활성화 됩니다. 하지만, 그동안 인공적으로 발굴된 몇몇 리간드는 인슐린 수용체의 대사 조절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리간드들이 어떻게 인슐린 수용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기작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압타머(Aptamer)가 결합된 인슐린 수용체의 구조 3가지를 Cryo-EM을 통해 밝혔습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압타머는 2가지인데, 첫번째로 A62 압타머는 인슐린 수용체의 Tyr1150의 인산화와 대사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편향 활성제(Biased agonist)입니다. 또 다른 A43 압타머는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로 인슐린과 수용체 사이의 결합을 증가시키며, 수용체의 인산화 및 기능을 증폭 시키는 물질입니다.

압타머와 인슐린 수용체의 결합 구조를 통해서,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는 다양한 구조적인 상태가 존재하는 단계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이런 구조적인 상태 변화에 따라서,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 역시 단계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통해서 인슐린 수용체의 기능 역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는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그 동안 수용체는 단순한 on/off 스위치로 묘사되어 왔지만, 저희의 연구는 수용체가 단계적인 구조 상태에 따라 세포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정교한 조절자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Insulin receptor, Aptamer, Functional selectivity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40분이며, 연사발표 30분, 질문 및 토의 1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한국어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webinar@ibric.or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