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BRIC Webinar] 면역치료제의 임상적 효과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공간해석 (Spatial Phenotype Signature) 의 사례연구 [BMS]

  • 등록일2023-07-31
  • 조회수4088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교육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Online
  • 행사기간
    2023-08-22
  • 신청기간
    2023-07-21 ~ 2023-08-21
  • 원문링크
  • 키워드
    #면역치료제 #임상 #공간해석
  • 첨부파일

면역치료제의 임상적 효과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공간해석 (Spatial Phenotype Signature) 의 사례연구 [BMS]



지금까지 종양학에 있어서 진단을 하거나 표적 치료제의 효과를 예측하는 도구로써 하나의 마커의 발현을 관찰하는 immunohistochemistry (IHC)가 표준 수단으로 쓰여져 왔다. 그러나 아주 일부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나의 마커의 발현을 검사하는 것으로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것은 더이상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대신, 종양면역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 에 존재하는 여러 바이오 마커의 발현양상 및 공간적 상호작용 (spatial interaction)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근래에 이러한 공간이 제공하는 문맥 (spatial context)를 이해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을 찾기는 어렵지 않다. 시료의 종류, 검출 방법, 분석의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임상에서 요구하는 단순화된, 고효율의, 일관된 결과를 낼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공간특성 (Spatial Signature)을 정립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코야 바이오사이언의 PhenoImager 다중형광이미징 기술은 임상의 주요 시료인 FFPE 조직시료에서 자가형광의 간섭없이 6개의 마커를 높은 재현성을 가지고 빠르게 염색 및 스캔을 하여, 임상연구 및 시험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발전시켜온 기술이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PhenoImager 기술의 특징과 이를 이용한 임상연구의 사례 연구를 통해, 임상시험에 사용된 Spatial Signature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60분이며, 연사발표 40분, 질문 및 토의 2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한국어 


□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 문의처:  webinar@ibric.or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