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핀란드 R&D 성과관리의 특징과 시사점 -Tekes를 중심으로-

  • 등록일2013-03-11
  • 조회수678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02-20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성과관리
  • 첨부파일

핀란드 R&D 성과관리의 특징과 시사점 -Tekes를 중심으로-

 

 

최근 여러 나라에서 과학기술혁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R&D 활동의 효율성·효과성 제고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평가 및 관리체계를 제고하여 기술혁신의 경제성장 기여도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진행 중에 있으며 R&D 예산의 전략적 조정·배분과 R&D의 효율성을 강화하는 측면에서도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과학기술혁신체제의 틀이 과학기술활동의 경제적 효과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까지 아우르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어 기술혁신의 목표가 삶의 질, 지속가능성 등의 사회적 가치까지 추구하게 되면서 혁신체제의 틀도 경제·정치·복지 등 사회 전반의 영역을 모두 포괄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혁신정책의 수단·주체가 다양화되면서 각 집단이 추구하는 목표의 균형, 과학기술 혁신활동에서의 연계와 협력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그 돌파구를 모색하고자 현재 핀란드 혁신체제에서 가장 규모가 큰 R&D 지원조직인 Tekes를 중심으로 핀란드 R&D 성과관리의 특징과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시사점 1] 정책 학습을 위한 과정으로서 성과평가관리
 [시사점 2] 성과정보의 체계적인 수집 및 분석 시스템
 [시사점 3] 부가성을 고려한 성과평가관리
 [시사점 4] 성과 확산 강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