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패러다임 전환형(Paradigm-Shifting) 과학 연구와 노벨상

  • 등록일2013-10-07
  • 조회수483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08-15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노벨상
  • 첨부파일
패러다임 전환형(Paradigm-Shifting) 과학 연구와 노벨상
 
 
매년 10월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되고 있으나 우리 과학자의 수상은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반해 이웃나라 일본은 최근 30년간 11명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우리나라도 기초과학연구원(Institute for Basic Science)의 설립 및 운용, 글로벌 프런티어사업 추진 등의 노벨 과학상 수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다각도로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30년간의 노벨 과학상(물리학, 화학, 생리의학상)을 분석함으로써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을 정도의 창의적 발견들이 지니는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제언을 던짐으로써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는 연구 활동을 권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지난 30년간 노벨상을 가져온 연구는 대부분 "패러다임 전환형 연구"였다는 사실을 토대로,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에 혁명적 변화를 야기한 창의적 업적들을 살펴봄으로써 그로 인해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며 창조경제에 기여하는 과정들을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본 보고서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를 도출해내고 있다. 

 [과제 1] 고위험-고보상 연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 수단 개발의 필요
 [과제 2] 패러다임 창출을 위한 다학제적, 기구적 성격의 연구 지원
 [과제 3] 유연하고 지속적인 연구지원체제의 도입
 [과제 4]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 지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