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미세먼지 기술동향보고서

  • 등록일2019-01-07
  • 조회수10357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해양수산기술
  • 자료발간일
    2018-12-06
  • 출처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세먼지
  • 첨부파일

 

 

미세먼지 기술동향보고서

 

 

목 차

 

1. 서 론

 

2. 주요 내용
  가. 국내·외 미세먼지 정책동향
  나. 국내·외 미세먼지 기술동향
  다. 국내·외 미세먼지 산업(시장)동향
  라. 국내·외 미세먼지 업체동향

 

3. 결론

 


미세먼지
- 집진·저감기술 중심으로 -

 

1. 서론

 

□ 목적

 

○ 본 보고서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국내·외 기술·시장동향 및 연구개발 현황정보를 제공하여 관련분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음

 

 

□ 기술 개요

 

○ (정의)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함.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뉨 
   -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음 
   - 미세먼지 성분으로 질산염(NO3-), 암모늄(NH4+), 황산염(SO42-), 탄소화합물, 금속 등을 포함하고 있음

 

○ (발생원) 보일러나 발전시설 등에서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 소각장연기 등이 있음
   - 미세먼지가 배출(생성)되는 기작에 따라 1차 배출과 2차 생성으로 구분됨 
   - (1차 배출) 공장의 굴뚝 등 고정 배출원,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의 비산먼지 등에서 미세먼지의 형태로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것에 기인함 
   - (2차 생성) 화석연료 연소과정의 황산화물이 수증기·암모니아와 결합 또는 자동차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이 수증기·오존·암모니아 등과 결합하는 등의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

 

○ (기술분류) 대기오염 저감장치 및 대기오염 측정장치로 크게 2가지로 분류함

 

○ (배출현황)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서 유입된 오염물질도 우리나라 대기에 영향을 미침.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기오염물질 중 30~50% 내외가 국외에서 유입된 것임 
   - (국내배출) 수도권에서는 경유차가, 전국적으로는 사업장이 1순위 배출원* 
     * 출처: 융합 weekly TIP, 융합연구정책센터, 20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