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추진배경 및 경과]
□ 추진배경
○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수립에 따라 각 부처별 추진사업과 실적을 정리하고,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4년도 시행계획을 수립
※ 법적근거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 7조 및 동법 시행령 제 2조
□ 추진경과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시행('09. 5.)
○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1∼'20) 수립('11. 5./국과위 본회의)
○ 2011~13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국과위 운영위)
○ 2014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 추진('14. 1.∼'14. 3.)
- 2014년도 시행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4. 1.∼'14. 3.)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상정('14. 4.)
2013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 정부투자
○ 2013년 총 투자액 1,585.7억원 규모('12년 대비 21.8% 증가)
- (부처별) 미래부 362.7억원*(22.9%), 농식품부 201.0억원(12.7%), 산업부 215.5억원(13.6%), 복지부/식약처 123.4억원(7.8%), 환경부 204.8억원(12.9%), 해수부 478.3억원(30.1%)
* 미래부 미생물가치평가센터 착공(’13년 72억원, ’12∼’15년, 전북 정읍)
- (영역별) 연구개발 675.7억원(42.6%), 인프라 838.7억원(52.9%)*, 국제협력 71.4억원(4.5%)
* 해수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건립(’13년 356억원, ’08∼’14년, 충남 서천)
- (분야별) 생물자원 1,028.0억원(64.9%), 생물다양성 458.7억원(28.9%), 생명정보 99.0억원(6.2%)
- (단계별) 발굴·확보 380.5억원(24.0%), 보존·관리 787.9억원(49.7%), 활용 417.4억원(26.3%)
□ 주요 추진 성과
○ (생명연구자원 확보)
- 동물·식물·미생물 등 증식가능 연구용 자원의 확보 확대(‘13년, 3,834종 신규 확보)
- 핵산, 표본 등 파생자원의 기탁등록건수 증가*
* (파생자원 전체) 14,628건(’12) → 23,055건(’13) (158% 증가)
- 해외자원 확보를 위한 거점 구축(해외생물소재센터 베트남센터 개소* 등)
* 한-베트남 생물소재연구센터(’13.6월 개소).......................................................계속
책자 pdf다운로드 받으시려면 로그인(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목차
1. 추진개요
2.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 개요
3. 생명연구자원 관련 주요 동향
가. 국외 주요 정책 동향
나. 국내 주요 정책 동향
다. 연구 및 개발 동향
4. 2013년도 추진 실적 및 성과
가. 정부투자
나. 발굴·확보 성과 현황
(1) 논문성과
(2) 특허성과
(3) 자원 기탁등록 성과 현황
다. 보존·관리 성과 현황
라. 자원 분양 성과 현황
마. 인력양성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바. 4대 추진 전략 및 중점과제별 추진 실적
5. 2014년도 추진계획
가. 기본 추진 방향
나. 부처별 기본 시책
다. 4대 전략 및 중점과제별 실천계획
라. 2014년도 정부 투자 계획
마. 부처별·영역별 실적 및 계획 총괄 일람
바. 4대 전략별 중점 추진 과제
<참고> 기탁등록기관 인프라 현황
(1) 보유 장비
(2) 보유 시설
(3) 보유 인력 현황
[부록] 2013년 및 2014년도 영역별·부처별 과제 세부 내용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