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2015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시행계획
[2015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시행계획 요약]
1. 추진배경 및 경과
■ 추진배경
○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수립에 따라 각 부처별 추진사업과 실적을 정리하고, 최근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5년도 시행계획을 수립
※ 법적근거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 7조 및 동법 시행령 제 2조
■ 추진경과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09. 5)
○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1∼'20) 수립('11. 5/국과위 본회의)
○ 2011~14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국과위/국과심 운영위)
○ 2015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 추진('15. 1∼'15. 6)
- 2015년도 시행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5. 1∼'15. 6)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상정('15. 7)
2. 2014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 정부 투자
○ ‘14년 총 투자액 1086.1억원 규모('13년 대비 31.5% 감소)
- (부처별) 미래부가 380.5억원(35.0%)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했으며 환경부 179.7억원(16.5%), 농식품부 171.2억원(15.8%), 산업부 149.3억원, 복지부 93.7억원, 해수부 87.2억원, 식약처 24.4억원 순
※ 해양수산부의 ’14년 추진 실적이 전년 대비 18.2%(’13년 478.3억원 → ’14년 87.2억원)로 급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건립 완공 등 인프라사업 축소)
- (영역별) 인프라 511.3억원(47.1%), 연구개발 441.9억원(40.7%), 국제협력 132.9억원(12.2%) 順이며 인프라와 연구개발에 치중(87.8%)
- (분야별) 생물자원 902.3억원(83.1%), 생명정보 115.1억원(10.6%), 생물 다양성 68.7억원(6.3%) 順이며 생물자원 분야에 편중
- (단계별) 발굴·확보 393.4억원(36.2%), 활용 349.9억원(32.2%), 보존·관리 342.8억원(31.6%) 順이며 3개 분야에 고르게 분포
■ 주요 추진성과
○ (확보) 다양한 바이오 연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연구용 생명연구자원 확보 증가 추세
- 동물·식물·미생물·인체유래물 등 증식가능 연구용 생명연구자원의 확보 증가(‘14년, 8,258종 신규 확보/’13년 대비 약 2.2배 증가)
- 핵산, 표본 등 연구 활용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는 파생자원도 확보
※ 인체유래물은 인간인 경우로서 1속(genus), 1종(species)이어서 비교하지 않음
→ ’14년 점 기준으로 증식가능자원(12,112점), 파생자원(1,272,201점) 확보
...................................계속
목차
1. 추진개요
2.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 개요
3. 생명연구자원 관련 주요 동향
가. 국외 주요 정책 동향
나. 국내 주요 정책 동향
4. 2014년도 추진 실적 및 성과
가. 정부투자
나. 발굴·확보 성과 현황
(1) 논문성과
(2) 특허성과
(3) 자원 기탁등록 성과 현황
다. 보존·관리 성과 현황
라. 자원 분양 성과 현황
마. 인력양성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바. 4대 추진 전략 및 중점과제별 추진 실적
5. 2015년도 추진계획
가. 기본 추진 방향
나. 부처별 기본 시책
다. 부처별 비전 및 목표
라. 4대 전략 및 중점과제별 실천계획
마. 2015년도 정부 투자 계획
바. 부처별·영역별 실적 및 계획 총괄 일람
사. 4대 전략별 중점 추진 과제
참고
기탁등록보존기관 인프라 현황
(1) 보유 장비
(2) 보유 시설
(3) 보유 인력 현황
부록
2014년 및 2015년도 영역별·부처별 과제 세부 내용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