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주)툴젠 김진수 박사

  • 등록일2004-06-02
  • 조회수11207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05-02-14
  • 출처
    과학기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툴젠#유전자 스위치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부
(주)툴젠 김진수 박사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김진수 박사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유전자 스위치 기술 개발




과학기술부(장관 吳明)와 한국과학재단(KOSEF, 이사장 權五甲)은 유전자의 기능규명과 진단, 그리고 치료제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인 유전자 스위치기술을 개발한 (주)툴젠 김진수 박사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로 선정했다.

김 박사의 이번 연구성과는 생명공학의 원천기술로써 신약개발, 기능유전체학, 미생물공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전자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DNA에 담겨져 있는 유전정보가 일차적으로는 RNA로, 그 다음에는 단백질로 전환되어야 한다. DNA로부터 RNA를 만드는 과정을 전사(tranion)라고 하는데 미생물, 동물, 식물 등 모든 생명체의 세포에는 이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전사인자들이 존재한다. 김 박사가 개발한 유전자 스위치는 이러한 전사인자를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며, 이것은 유전자를 조절하는데 활용된다.

많은 질병이 특정 유전자의 발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초래된다. 예를 들어 혈관신생인자 VEGF라는 유전자는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에는 발현되지 않아서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암이 발생하면 암세포에서 VEGF 단백질을 만들어 내어 암세포 주변에 혈관 형성을 유도한다. 암세포는 새로 생긴 혈관을 통해 영양성분과 산소를 공급받아 성장하는 한편 다른 조직으로 전이하게 된다. 따라서 암세포에서 VEGF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유전자 스위치를 만들어 조절하면 암세포의 전이와 성장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김 박사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VEGF를 억제하는 유전자 스위치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이를 동물실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유전자 스위치 기술은 혈관신생인자 이외에도 질병과 관련된 많은 유전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수단으로서도 활용가치가 높으며 줄기세포의 분화와 동물세포, 산업미생물의 형질개량 등의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김 박사는 최근 10년간 SCI 등재 국제학술지에 17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고, 특히 작년 한 해 동안에만 생명과학분야 최고의 학술지인 Nature Biotechnology에 두 편, Genome Research에 한 편의 논문을 발표하여 우수한 연구실적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연구성과의 산업화를 위하여 국내외에 특허 11건을 출원 또는 등록하였다.

김 박사는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제약업계 세계 최대 연차회의인 신약개발기술 2001(Drug Discovery Technology 2001) 회의에서 최우수 기술발표상(Best Poster Award)을 수상하였고 김 박사가 대표이사로 있는 (주)툴젠은 2002년 중국 베이징에서 환태평양포럼과 중국무역촉진위원회가 공동주최한 과학혁신포럼(Science Innovation Forum)에서 “아시아의 주목해야 할 10개 생명공학회사”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었다. 또한 김 박사 연구팀은 그 동안의 연구성과에 의해 지난 2001년에 과기부의 ‘국가지정연구실’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이력사항>

학력
1983. 3. - 1987. 2.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87. 3. - 1989. 2. 서울대학교 화학과 석사
1990. 8. - 1994. 8.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생화학과 박사

경력
1994. 9. - 1997. 12. MIT/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연구원
1997. 12. - 1999. 7. 삼성생명과학연구소 연구책임자
1999. 10. - 현 재 (주)툴젠 대표이사/연구소장

학회활동 (현재기준)
1998 - 현재 한국생화학 및 분자생물학회
2003 - 현재 Drug Discovery Technology Asia-Pacific, IBC, Scientific Advisory Board

수상경력
2001. 8. 신약개발기술 2001 (보스턴, 미국) 최우수기술발표상
2002. 6. 과학혁신포럼 (베이징, 중국) “아시아의 주목해야 할 10 대 생명공학회사”로 선정
2003. 5. 대한민국 특허청 제38회 발명의 날 발명진흥 유공자 표창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