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15 바이오안전성백서

  • 등록일2016-01-04
  • 조회수7225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15-09-11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안전성백서#바이오안전성#유전자변형생물체#LMO#바이오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2015 바이오안전성백서

 

[개 요]

 

2015 바이오안전성백서는 2013년에서 2014년까지 2년간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및 바이오안전성에 대한 국내외 정책 및 제도, 연구개발, 산업화 현황, 안전성심사 현황, 공공인식 등 다양하고 전문화된 정보를 다룬 국내 유일의 바이오안전성 정보지침서 입니다.

 

 

 

[목 차]

 

[추천사/ 발간사]


[2015 바이오안전성 연대기]


[2015 바이오안전성 이슈]


[요약]

 

-제1부 바이오안전성 국내동향-

[제1장 관계기관 동향]

제1절 산업통상자원부

제2절 미래창조부

제3절 농림축산식품부

제4절 보건복지부

제5절 환경부

제6절 해양수산부

제7절 식품의약품안전처

 


[제2장 LMO 평가/심사, 수입 등 현황]

제1절 평가/ 심사현황

제2절 수입 등 현황

 

[제3장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제1절 바이오안전성정보관리

제2절 바이오안전성커뮤니케이션

 


-제2부 바이오안전성 세계동향


[제4장 국제기구 동향]

제1절 바이오안전성의정서

제2절 OECD


[제5장 주요국 동향]

제1절 유럽연합

제2절 북미 지역

제3절 중남미 지역

제4절 아시아·태평양 지역

제5절 아프리카 지역


-제3부 유전자변형생물체 연구개발 및 관련산업 동향


[제6장 LMO 연구 및 관련산업 동향]

제1절 작물

제2절 화훼

제3절 나무 등

제4절 동물

제5절 곤충

제6절 어류

제7절 미생물

 

-제4부 바이오안전성 공공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동향


[제7장 LMO 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제1절 국내 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제2절 국외 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제8장 NGO 활동]

제1절 국내 NGO 활동

제2절 국외 NGO 활동

 

[부록1] 바이오안전성 관련법

[부록2] 바이오 및 바이오안전성 관련 문헌

[부록3] 국내외 바이오 및 바이오안전성 관련 웹사이트

[부록4]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일지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