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식품R&D중점투자분야 동향보고서] 포스트바이오틱스 동향보고서

  • 등록일2021-08-30
  • 조회수526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08-25
  • 출처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포스트#바이오틱스
  • 첨부파일
    • pdf 식품R&D중점투자분야 보고서_포스트바이오틱스 분야 동향보고서.... (다운로드 58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포스트바이오틱스 동향보고서


◈목차


01 개요 

 

1.1. 프로바이오틱스 개요 

02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동향 
2.1.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규모 및 수출입 현황 
2.2.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개발 기술 현황
2.3. 프로바이오틱스 지식재산권 현황 

03 프로바이오틱스 품질 및 안전성 평가 기술 동향 
3.1.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및 품질 문제 사례 
3.2.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평가 및 관리 기준 
04 참고문헌 

◈본문


01 개요
1.1. 프로바이오틱스 개요
 
l 프로바이오틱스란 제한된 시험 조건에서 건강기능식품의 효과를 보여주는 미생물 종으로, 숙주의 장내미 생물 균형을 유지시킴으로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의미함. (식약처, 프로바이오틱스 안전성 평가 가이드, 2021).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유해균을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유효한 효과가 있어야 하며,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이어야 함
 
l 흔히 알려진 유산균은 장 내에서 유산 (lactic acid) 등을 생성하는 미생물을 칭함.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 분류되는 미생물의 대부분을 차지함
 
l 유산균은 장내에 정착하여 유산, 지방산, 항생물질 등을 생산하여 병원성 세균이 장내에 부착 및 증식하는것을 억제하며 면역계를 활성화 시켜 면역력을 증진시킴. 또한 유산을 생성하면서 부산물로 다양한 가수분해 효소를 생산할 뿐 아니라, 비타민 B 군의 합성을 돕고 B1의 파괴를 저해하여 안정화를 도움
 
l 유산균을 포함한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기초 연구뿐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장내 환경 및 미생물 균총에 대한 연구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이에 따라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개발되고 있으며 균주의 안전성 검사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어 가고 있음
 
02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동향
2.1.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규모 및 수출입 현황
 
l 프로바이오틱스 글로벌 시장은 2018년 기준 약 56조에서 2023년 약 79조 규모로 연평균 약 7%대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1.png

l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010년까지는 유럽시장이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였지만 이후 아시아 시장의 규모가 더욱 커져 2018년에는 아시아 지역이 139억 달러로 가장 높은 비율의 시장 규모를 차지하였고, 뒤를 이어 유럽, 북미 지역이 각각 108억 달러, 64억을 기록함
 
l 미국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경우 2015년 기준 약 404억 달러의 규모로 연평균 7.1 %씩 성장하였고, 이중에서 천연물 및 전통 식품 보조제가 34.7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함으로서 가장 큰 시장 규모를 확보하고 있음
 
l 일본의 건강기능식품시장은 2015년에 약109억 달러(약12조원) 규모로 연평균2.3% 성장세를 보이며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의 시장 규모를 차지함. 그중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일본야쿠르트와 메이지유업이 각각 40%, 20% 정도로 시장점유율이 높고, 일본 모리나가가 11% 정도의 시장 규모를 차지하고 있음
 
l 국내 또한 건강기능식품 중 프로바이오틱스의 품목 수 및 연간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음. 2018년 기준 국내 건강기능식품 수입액 중 프로바이오틱스 관련이 약 730억원 (원료포함)으로, 2013년 대비 3.7배 성장하였고 원료 수입 규모도 약 2배 이상 성장함. 일본과 경제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국내 프로바이오틱스원료 시장은 단순 추정 시 약 1,300억 수준으로 (2018년 기준), 잠재시장의 규모가 매우 크고 성장 가능성이 높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