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국가생명연구자원 뉴스레터 69호] ‘Amnimonas aquatica’ 외 18종 등
- 등록일2019-03-25
- 조회수5544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9-03-21
-
출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연구자원
- 첨부파일
[국가생명연구자원 뉴스레터 69호] ‘Amnimonas aquatica’ 외 18종 등
[목차]
1. 추진개요
가. 추진배경
나. 추진목표
다. 추진체계
라. 부처별 기탁등록보존기관 및 책임기관 지정 현황
2. 생명연구자원 관련 주요 동향
가. 국외 주요동향
나. 국내 주요동향
3. 2017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가. 정부투자
나. 연구개발 성과
다. 발굴·확보 성과 현황(기탁등록보존기관 기준)
라. 보존·관리 성과 현황(기탁등록보존기관 기준)
마. 자원 분양성과 현황(기탁등록보존기관 기준)
바. 인력양성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 3대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별 추진실적
4. 2018년도 주요 추진계획
가. 부처별 비전 및 목표
나. 3대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별 실천계획
다. 2018년도 정부 투자계획
라. 부처별·영역별 실적 및 계획 총괄 일람
<참고> 기탁등록보존기관 인프라 현황
가. 장비 현황
나. 시설 현황
다. 인력 현황
<부록> ‘17년 및 ’18년도 영역별·부처별 과제 세부 내용
[내용]
2018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요약
1. 추진개요
○ 추진배경
●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6∼’20년)」수립에 따라 각 부처별 추진사업과 실적을 정리하고,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8년도 시행계획 수립을 추진
※ 근거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제7조
○ 추진경과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09.5월)
● 제1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1∼'20년) 수립('11.5월)
● 2011년~2016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
●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6~’20년) 수립(’16.6월)
● 2017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17.3월)
- 바이오특별위원회 심의 확정('17.3월)
● 2018년도 시행계획(안) 바이오특별위원회 상정('18.5월)
- 시행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8.1~3월)
2. 2017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 정부 투자
● ’17년 정부 투자는 총 1,621억원 규모로 전년(1,445억원) 대비 12.2% 증가
- (부처별) 과기정통부가 551억원(33.9%)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하였으며, 해수부 344억원(21.2%), 농식품부 218억원(13.5%), 환경부 195억원(12.0%), 식약처 123억원(7.6%), 복지부 99.7억원(6.2%), 산업부 90.7억원(5.6%) 순으로 나타남
- (분야별) 생물자원 985.2억원(60.7%), 생명정보 540.1억원(33.3%), 생물다양성 96.4억원(5.9%)순이며 생물자원 분야에 투자 집중
○ 주요 추진성과
● 부처별 기탁등록보존기관을 중심으로 동물·식물·미생물·인체유래물 등 연구자들에게 분양 가능한 고품질의 생명연구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관리
- 2017년 증식가능자원 기준 동물 1,288종, 식물 17,257종, 미생물 27,883종, 인체유래물 19,490사람의 자원을 누적 확보·관리
※ 자원 종수는 부처별, 기관별 중복집계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