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안건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4) 2023년도 시행계획(안)
- 등록일2023-10-18
- 조회수767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3-04-27
-
출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원문링크
-
키워드
#농림식품과학기술#시행계획
- 첨부파일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4)
2023년도 시행계획(안)
◈ 목차
Ⅰ︎. 개요
Ⅱ︎. 2022년 R&D 투자 현황 및 성과
Ⅲ︎. 2023년도 추진 전략
Ⅳ︎. 2023년도 전략별 세부 추진계획
Ⅴ︎. 전략별 추진 일정
[부록]. 부청별 '23년 R&D 사업 예산
◈본문
1. 의결주문
ㅇ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 2023년도 시행계획(안)」을 별지와 같이 의결함
2. 제안이유
ㅇ 「농림식품과학기술육성법」 제5조에 따라 수립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이하 ‘종합계획’)을 이행하기 위하여 20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ㆍ추진하고자 함
3. 주요내용
가. 2022년도 실적ㆍ성과
□ (투자현황) 2022년도 농림식품 R&D 예산은 1조 3,080억 원
ㅇ 농식품부 2,902억 원, 농촌진흥청 8,533억 원, 산림청 1,645억 원으로 국가 전체 R&D 예산(29.8조 원) 대비 약 4.4% 수준
ㅇ 5대 중점연구분야에 농림식품 R&D 예산의 7,788억 원(59.5%) 투자
* ①스마트농림업 1,574억원(7.5%), ②그린바이오산업 1,488(11.4), ③고품질 농림식품 2,036(15.6), ④이상기후·재난·질병 대응 1,840(14.1), ⑤삶의 질 향상 850(6.5)
□(주요성과) 농식품 R&D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 기반조성
ㅇ 개방형 연구협력 네트워크 고도화
- 농수산분야 R&D 범부처 협의체 운영 및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노지농업, 종자 등 대형 신규사업 공동 기획 추진(예타기획 3건)
- 현장중심 사업발굴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분야별 민간전문가 추가(53명)
ㅇ 민간 농식품 R&D 활성화 및 사업화 강화
- 정부출자 1,526억 원을 마중물로 1,005억 원의 민간자본을 유치, 농식품경영체에 투자 가능한 농식품펀드 조성 완료
* ’22.12월 기준 1,246억 원 투자 등 ’10년부터 총 506개 경영체에 10,205억 원 투자
- 신기술인증 27건(’21년 22건), 녹색인증 85건(’21년 60건), 혁신제품 지정 21건(’21년 15건) 등 우수기술 및 기술인증 적용 제품 발굴
ㅇ R&D 추진체계 개편 및 역량 강화
- 타 분야 선도기술 적용 및 경쟁형 R&D 수행방식 도입을 통한 창의ㆍ도전적 연구환경 조성
* 농업분야 창의도전형 융복합 모델 개발(’23년 7.5억 원 확보)
- 스마트팜, 수의방역 등 현장 전문인력 수요가 많은 분야 대상 특수 대학원 설립 및 교과목ㆍ커리큘럼 구축 등 교육훈련 추진
* 특수대학원 교육훈련 인원 현황(’21∼’22년) : 스마트농업 80명, 수의방역 61명, 식물방역 30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