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부안건

제4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안)

  • 등록일2024-01-04
  • 조회수649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3-12-20
  • 출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연구#종합계획#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 첨부파일

 

 

제4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안)


 

◈ 목차

Ⅰ︎. 수립 배경

Ⅱ︎. 정책여건 분석 및 시사점

  1. 해외 융합연구 정책동향

  2. 우리나라 융합연구 현황

  3. 진단과 평가

  4. 4차 기본계획 수립방향

Ⅲ︎. 미래개척 융합분야

  1. 핵심 방향

  2. 2040 미래 시나리오

  3. 미래개척 융합분야와 기술

Ⅳ︎.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Ⅴ︎. 전략별 추진과제

  1. 경계 없는 융합연구

  2. 견고한 융합 추진체계

  3. 진화하는 융합 생태계

Ⅵ︎. 기대효과 및 과제별 소관부처



◈본문

1. 의결주문

ㅇ 「제4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안)」을 별지와 같이 의결함


2. 제안이유

ㅇ 「과학기술기본법」 제17조에 따라, 향후 5년간의 범부처 융합연구 방향 제시를 위한 중장기 목표 및 추진과제 등을 마련하여 「제4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23~'27)」을 수립·추진하고자 함

※ 과기정통부, 산업부, 문체부, 교육부, 식약처, 방사청 등 19개 부처


3. 주요내용

□ 추진 배경

ㅇ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18~'27)의 수립 후 5년이 경과하여, 「제4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23~'27)」 수립 필요

- 본 계획은 범부처 융합연구 종합계획으로, 미래개척형 융합기술 테마를 선정하고 융합연구 생태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연구개발

방향 및 추진체계 등 다양한 전략으로 구성

※ 3차 계획에서 기술·경제·사회적 변화를 감안, 5년 주기 연동계획(rolling plan) 추진토록 명시


□ 추진 경과

ㅇ (기획·조사) 문헌조사, 통계분석, 정책사례연구(’22.6~10)

ㅇ (의견수렴) 산학연 연구자 대상 융합연구 활성화 설문조사, 융합 연구자* 심층 인터뷰, 전문가 대상 미래 융합기술 평가**(’22.11~’23.8)

*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융합분야 연구자 등 30명

** 300명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미래기술의 융합성 평가 등

ㅇ (위원회) 정책 및 인류·사회·지구 분과별 위원회 구성·운영, 미래 개척기술 도출 및 전략 수립(’23.7~8)


□ 우리나라 융합연구 현황

ㅇ (투자) 융합연구 투자실적은 1.6조 원(’09)에서 5.6조 원(’22)으로 3배 이상 증가

ㅇ (성과) 논문·특허·기술료 등 성과* 증대, 융합연구 활성화 수준은 '22년 2.75 달성(목표치 3.08), '19년 국가혁신역량 6위로 목표(16위) 조기 달성

* 논문 8,523건(’09)→16,184건(’21), 특허 7,480건(’09)→12,036건(’21), 기술료 196억 원(’09)→1,748억 원(’21) 등


□ 그간 계획의 성과와 한계


⇨ ①융합연구 재원의 전략적 배분을 위해 중점 추진 분야를 발굴하고, 집중 육성하는 등 ‘전략성’을 강화할 필요

②분야·기술 간 ‘수평적’ 융합에 국한하지 않고 정책, 연구, 민간 등 다양한 주체들 간의 ‘수직적’ 융합을 아우르는 통합적 융합전략 필요


□ 제4차 기본계획 수립 방향(안)

ㅇ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국정과제, 글로벌 융합연구 트렌드*에 맞추어 미래개척형 융합기술 테마를 선정하고 융합연구 혁신전략을 마련

* 기술패권, 협력 플랫폼 강화, 도전적 연구 중시 등

ㅇ (융합전략 설계) 당면한 복합문제 해결에 필요한 도전 가치 영역을 발굴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융합적 전략 설계

ㅇ (정책영역 확장) 미래주도형 융합 R&D 전략 및 과제추진을 위하여 융합연구를 새롭게 정의하고 유형을 확장

▪ (정의) 기존 과학기술로만 해결할 수 없는 복합문제*에 해법을 제시하고, 미래기술개발에 도전하는 범(汎)학제형 협력연구

* 해결이 어려운 문제(Wicked problems) 및 사회적 도전과제(Societal challenges)

▪ (유형) ①다학제 연구, ②학제 간 연구, ③초학제 연구(신규), ④변혁적 연구(신규)



ㅇ (미래개척 융합기술) 미래도전가치 실현을 위한 2040 미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선점해야 할 미래개척(융합)분야 및 세부 기술 도출



□ 비전, 목표 및 추진방향




□ 전략 및 추진과제 주요 내용

[전략1] 경계 없는 융합연구



❶ (변혁적 융합연구) 패러다임 전환형 도전적 융합연구 강화,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포트폴리오형 융합사업 추진



❷ (글로벌 융합연구) 선도국과 격차가 큰 융합연구 분야 중심으로 국제 협력 확대 등 글로벌 융합연구의 최적 경로 구축



❸ (초학제 융합연구) 성공적 연구사업 모델 확산을 통한 다학제·학제간 연구 고도화, 인문사회·지역 등 참여주체를 확대하는 초학제형 연구 견인



[전략2] 견고한 융합 추진체계



❹ (추진체계 다각화) 혁신 주체 간 종적 융합, 기술·분야 간 횡적 융합을 동시 확대, 산-학-연-관 연계 강화



❺ (평가체계 개선) 전주기적 융합연구 평가방식 개선, 융합연구에 특화된 평가위원 구성 등 융합에 최적화된 평가체계 확립



❻ (제도 개선) 추진동력 강화를 위한 「협동연구개발촉진법」 개정 추진, 융합연구 성과 창출 가이드라인 수립



[전략3] 진화하는 융합 생태계



❼ (플랫폼 고도화) 융합연구 데이터·콘텐츠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융합 지수 등 융합연구 생태계 지원강화를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❽ (협력·소통강화) 연구자 및 기관 간 네트워크 강화, 융합연구 성과 확산을 위해 컨텐츠 기획 및 교육 확대를 통한 협력과 소통의 질적 향상



❾ (융합인재 양성) 융합 컨소시엄 중심의 융합역량 강화,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실전형 융합인재 양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