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13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2명 선정
- 등록일2013-06-24
- 조회수4842
-
발간일
2013-06-2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키워드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과학기술인상
2013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2명 선정
-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마이크로RNA 생성과정 및 기능 규명)
- 서울대 수리과학부 박종일 교수(4차원 다양체 분야 개척?발전)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박상대)는 ‘201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교수(44세)와 서울대학교 박종일(50세) 교수를 선정하였다.
□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교수(IBS 연구단장 겸임)는 마이크로RNA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분자세포유전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생물학자이다.
※ 마이크로RNA(ribo nucleic acid) : 작은 핵산 분자로서 유전자를 조절하는 물질이다. 세포의 기능을 제어하고 세포의 운명을 결정함으로써, 동물의 기관 형성, 줄기세포 유지, 면역 작용, 암 발생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o 김빛내리 교수는 유전자 조절물질인 마이크로RNA가 세포내에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조절되는지를 밝혔다. 또한 마이크로RNA가 줄기세포의 유지와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기전을 발견하였다.
o 김 교수의 연구는 생명과학의 여러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RNA를 이용한 신약개발, 유전자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 발전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 서울대학교 박종일 교수는 지난 15여 년 동안 국내에서는 불모지나 다름없던 4차원 다양체 분야를 개척, 발전시켜 한국의 연구 역량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려놓은 국제적으로 저명한 수학자이다.
※ 다양체 : 인류가 생각하는 공간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한 연구대상
o 4차원 다양체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의 일반화된 개념으로 여기에는 시공간 뿐 아니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수많은 공간들이 있다. 예를 들어 기하종수가 0이고 단순연결 된 4차원 다양체는 지금까지 곡률이 양(+)인 공간들만 알려져 있었다.
※ 기하종수 : 공간의 전체 모양을 규정짓는 불변량 중의 하나
※ 곡률 : 공간이 휘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o 박종일 교수는 지난 5여 년 동안 일련의 단독 및 공동연구를 통하여 위상수학, 심플렉틱기하학 및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수십년 동안 최고의 난해한 문제로 여겨진 ‘기하종수가 0이고 음(-)의 곡률을 갖는 단순연결 된 4차원 심플렉틱다양체 및 복소곡면의 존재성 문제’를 ‘유리적 블로다운 수술’이라는 위상적 기술과 ‘Q-고렌슈타인 매끄러움’이라는 변형이론을 독창적인 방법으로 통합하여 해결하는 등 4차원 다양체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위상수학 : 기하학과 함께 공간의 구조 및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
※ 심플렉틱 기하학 : 역학 및 수리물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현대 기하학의 한 분야
※ 대수 기하학 : 대수적으로 표현되는 공간을 연구하는 대수학과 기하학의 복합분야
※ 심플렉틱 다양체 : 닫힌 정칙 2차 미분형식을 갖고 있는 매끄러운 공간
※ 복소곡면 : 대수적 구조와 기하학적 구조를 동시에 갖고 있는 대표적인 4차원 공간
※ 유리적 블로다운 수술(rational blow-down surgery) : 위상수학 분야에서 개발되어진 기술로 새로운 위상공간을 만드는 방법 중의 하나
※ Q-고렌슈타인 매끄러움(Q-Gorenstein smoothing) :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개발되어진 변형이론으로 새로운 복소공간을 만드는 방법 중의 하나
□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업적이 뛰어난 과학기술인을 선정?시상함으로써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자긍심을 함양시키고,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풍토 조성을 위해 2003년도부터 시상해 온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 과학기술인상이다.
o 이 상은 세계적인 연구개발 업적 및 기술혁신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서 선정하고 있다.
o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총 28명의 수상자를 선정하였고, 학계는 윤보현 서울대 의대 교수 등 24명, 연구계는 신희섭 KIST 책임연구원 등 2명, 산업계에서는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사장 등 3명을 선정한 바 있다.
□ 201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과학기술단체 등을 통해 38명을 추천 받아 3단계 심사과정(전공자심사-분야심사-종합심사)을 거쳐 최종적으로 2명을 선정하였다.
□ 미래창조과학부는 7월 5일(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개회식(부산 BEXCO)에서 이들 수상자에게 대통령 상장과 함께 부상으로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
참고 1. 수상자 공적 요약, 주요 논문리스트, 전문가 평가 및 향후 전망 1부
2.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개요 1부
3. 2013 대한민국 과학기술 연차대회 개요 1부. 끝.
☞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