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아시아지역 보건장관, 신종 감염병 차단 및 항생제내성 예방·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논의
- 등록일2016-04-18
- 조회수4012
-
발간일
2016-04-15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종 감염병#항생제
- 첨부파일
아시아지역 보건장관, 신종 감염병 차단 및
항생제내성(AMR) 예방·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논의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 세균 등이 항생제에 대해 저항능력이 생겨 감염질환 치료가 어려워진 상태를 총칭, 항생제 오남용 또는 가축사육 등에서 다량의 항생제 사용 등으로 발생함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4.16(토)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는 ‘항생제내성 아시아 장관 회의’에 참석해 항생제 내성의 예방·관리를 위한 국제 감시·대응 협력체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항생제는 감염병 예방치료에 필수적이나 오남용 시 감염병 병원체에 내성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항생제 내성균의 새로운 발생이나 유행은, 치료법 없는 신종 감염병의 파급력과 유사해 최근 WHO, G20 정상회의, 글로벌 보건안보구상(GHSA) 등에서 계속해서 문제의 심각성과 국제공조의 필요성이 지적되어 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회의는 항생제 내성 대응을 주제로 아시아지역 12개국 장관이 모이는 고위급 회의로 항생제 내성의 예방관리에 중요한 농식품(FAO) 및 동물건강(OIE) 국제기구도 함께 참여한다.
* 참가국(12개국):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태국
정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미래세대가 항생제 이전 시대를 겪게 할 수 없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항생제 사용 관리 및 내성균 감시체계 정비 등 한국의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소개할 계획이다.
또한 미래 세대를 위해 감염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보존하기 위한 공동 연구·투자 등 국제사회의 관심과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다.
또한 동 회의 참석에 앞서 4.15(금), 정 장관은 일본의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NCGM)*에 방문하여 일본의 항생제 내성 대응 대책과 병원 내 감염 관리 현황을 듣고, 양국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 National Center for Global Health and Medicine (NCGM)
아울러 동 회의를 계기로, 일본 후생노동성 장관을 만나 작년 11월에 있었던 한중일 보건장관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했던 삼국 검역협의체의 구체적인 이행을 논의하고,
영국 수석대표와의 양자 면담을 통해 한-영 간 AMR 및 신종감염병 대응 공조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
장관 회의 개요
-
부대행사: 항생제내성(AMR) 관련 전문가 기술 회의
-
용어 설명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