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대구 신약개발지원센터, 지원 3년 만에 첫 결실
- 등록일2016-12-30
- 조회수4061
-
발간일
2016-12-30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지원센터
- 첨부파일
대구 신약개발지원센터, 지원 3년 만에 첫 결실
- 전략적 연구공백 지원을 통한 기술이전 성공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국내 연구진이 신약개발지원센터 R&D 지원사업을 통해 처음으로 기술이전을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ㅇ 심태보 박사팀(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최환근 박사팀(신약개발지원센터)이 공동으로 개발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의 후보물질은 총액 17.5억원(선급금 2.5억원) 규모로 ㈜파로스아이비티(대표이사 윤정혁)에 기술이전*** 되었으며, 향후 비임상 실험을 위한 후속 연구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 백혈구가 악성세포로 변하여 전신에 퍼지는 질병으로 생존율이 가장 낮으며, 전체 성인 급성백혈병 중 65%를 차지
** (규모) 선급금 2억 5천만원 + 단계별 기술료 15억 = 총 정액기술료 17억 5천만원,경상기술료 별도(매출액의 3%)
ㅇ 연구팀이 개발한 후보물질은 선두 후보물질인 ‘퀴자티닙’*의 내성 결함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효능 및 낮은 생체 독성을 보여 향후 시장출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미국 제약사 앰빗 바이오사이언스(’14년 다이이찌 산쿄에 인수)가 개발 중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선두 후보물질
□ 신약개발지원센터 R&D 지원사업을 통해 이루어진 이번 기술이전은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인프라를 활용한 전략적 연구 공백 지원을 통해, 사장위험(Death Valley)이 높은 국내 우수 기초 연구성과가 시장으로 진출한 대표적 성공사례라 볼 수 있다.
ㅇ 동 사업은 신약개발지원센터 인프라를 활용해 연구기관과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유망 후보물질 발굴·개발을 위해 필요한 공백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 한편, 대구 신약개발지원센터는 29일(목) 오전 11시 ㈜파로스아이비티 회의실에서 윤정혁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KIST 연구책임자 심태보 박사 등을 초청하여 기술이전 협약식을 개최하였다.
ㅇ 협약식에 참석한 연구책임자 심태보 교수는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기존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한 신약이 출시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하며, “미래부와 대구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연구지원이 이러한 성과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강조하였다.
참고 1. 신약개발지원센터 R&D 지원사업 개요
2. 연구결과 개요
3. 주요 용어설명
4. 심태보 박사 이력사항
5. 최환근 박사 이력사항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