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인공지능 융합선도프로젝트 등 인공지능(AI) 분야 주요 사업 안내
- 등록일2019-01-08
- 조회수3936
-
발간일
2019-01-0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
- 첨부파일
“인공지능 지원 거점센터 설립 + 인공지능 전문기업 육성”
다양한 산업에 인공지능 접목(AI+X)하여 혁신 촉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석제범)는 오는 1월 9일 오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19년도 인공지능 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하여 올해 추진되는 인공지능(AI) 분야 주요 사업*들에 대한 내용과 절차를 안내할 예정이다.
* ‘인공지능 융합선도프로젝트’, ‘인공지능 허브’, ‘인공지능 R&D 그랜드 챌린지’ 등
□ 그 중 올해 첫 실시되는 인공지능 융합선도프로젝트는 인공지능을 다양한 산업에 접목(AI+X)하여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 인공지능 기반의 신규 제품·서비스 창출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18년 12월 19일부터 ’19년 1월 31일까지 접수 중이다.
◈ (공고명) ‘2019년도 제1차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개발지원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중 ‘인공지능 융합선도프로젝트’(www.iitp.kr)
◈ (접수기간) 2018.12.19.∼2019.1.31. (공모분야) 분야 지정 없이 자유공모 ◈ (접수방법) 전산등록(https://ezone.iitp.kr) 및 신청서류 제출 ※ ①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19년 2개 센터, 센터당 11.25억원 내 지원/3년간 41.25억원 내) ②인공지능전문기업 육성(’19년 7개 기업 내외, 총 26.5원 내에서 예산 배분/2년 지원) |
□ 먼저,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의 경우, 대학, 기업, 연구소, 지자체등이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지원할 수 있으며, 지역별 인공지능 거점 역할을 할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로지정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전방위 지원을 하게 된다.
ㅇ 과기정통부는 올해 2개 지역에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를 지정하고, 내년에 3개를 추가로 선정하여 총 5개의 인공지능 지원 지역별 거점센터를 지정·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향후 센터가 지역 주력산업등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개발과 활용에 앞장서며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그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의 역할 > ◈ (핵심기능) ① 대학·연구소의 인공지능 연구역량을 기반으로 지역의 주력 산업에 특화된 AI 학습용 데이터 정제 기술, 기계 설비 진단·제어 공통모듈 등 제품·서비스 혁신 창출에 필요한 인공지능 핵심기술 연구개발 ② 지역 중소·창업 기업들의 AI 제품·서비스 개발·사업화, 기술 활용 지원 등
◈ (기타기능) ① 생산성 향상, 안전성 제고, 리스크 감소 등 기업 수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적용 방안 컨설팅 ② 인공지능 수요 기업과 개발 기업간 연결을 통해 인공지능 활용 확산 및 시장 활성화 ③ 각 산업체에서 핵심공정에 인공지능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재직자 대상 인공지능 개발역량 교육 등 |
ㅇ 인공지능 전문기업 육성의 경우, 인공지능 제품 또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국내 중소·창업·중견 기업 등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인공지능 응용 제품·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하여 국내 기업들의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돕는다.(붙임 참조)
◈ (선정방향) 기업의 인공지능 관련 제품·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의료·교육·유통·제조 등 전분야 지원 가능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성장가능성 높은 과제 선정
◈ (지원규모) ’19년 7개 내외 기업을 선정하여 예산범위(총 26.25억원) 내에서 과제별로 배분될 예정이며, 선정된 기업은 중간평가를 거쳐 ’20년(총 35억원)까지 지원 예정 |
□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권용현 부단장은
ㅇ “많은데이터 학습 여부가 알고리즘 고도화에 직결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의 특성 상, 특정 응용분야에서 성과가 뛰어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려면 해당 응용분야에 관한 질 좋은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결정적”이라고 강조하고,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특정 산업들이 집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해당 지역의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상호 연계하여 특정 응용분야에 초점을 맞춰 데이터를 확보하고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 개발에 노력할 경우 차별화된 성과를 창출해낼 수 있다고 본다”며, “그러한 측면에서 지역별 산업의 장점과 해당 지역 기업 및 대학의 역량이 결합된 인공지능(AI) 융합연구센터는 향후 인공지능과 특정 응용분야 간 결합을 통한 산업 발전에 중요한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ㅇ 또한, “인공지능(AI)은 농업에서 우주산업에 이르기 까지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각 분야에 가장 적합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반복되는 학습과 테스트를 거쳐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산업 및 인공지능 발전 방법론의 특성을 고려해자유로운 방식의 인공지능 기술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AI 전문기업 육성 사업을 시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 한편, 이날 설명회에는 ‘인공지능 선도프로젝트’ 외에도 경쟁형 연구개발 방식으로 기술개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인공지능(AI) R&D 그랜드 챌린지’와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과 고성능 컴퓨팅 자원 등을 지원하는 ‘AI 허브’ 사업에 대해 상세한 안내와 질의응답 시간이 마련될 예정이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