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산업부, 내년도 예산 9조 4,367억원 확정
- 등록일2019-12-12
- 조회수2610
-
발간일
2019-12-11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부 예산
- 첨부파일
산업부, 내년도 예산 9조 4,367억원 확정
- 전년 본예산(7조 6,934억원) 대비 23% 증가 -
① 소재부품장비 등 제조업 경쟁력 제고 ② 수출 활력 회복지원
③ 에너지 전환 및 복지지원 ④ 지역경제활성화 지원에 집중할 계획
1. 2020년 예산규모
□ 산업부의『202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12월 10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총 9조 4,367억원 규모로 최종 확정되었음
ㅇ 정부안(9조 4,608억) 대비 국회 심의 과정에서 1,244억원이 증액되었고, 1,485억원이 감액되어 241억원이 순감되었음
ㅇ 내년도 예산은 올해 대비 23% 증가한 것이며, 이는 우리경제 활력제고를 위해 적극적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범정부 차원의 기조가 반영된 것임
< 산업부 년도별 예산 현황 (단위: 억원) >
2. 2020년도 예산안 분야별 주요내용
❶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제고 지원
□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여, 소재부품장비 산업 지원을 위한 산업부 예산이 금년 6,699억원에서 내년도 1조 2,780억원으로 대폭 증액되었음
ㅇ 특히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예산이 2배 넘게 증가되고, 「전략소재자립화기술개발사업」등 신규 사업 예산도 예정대로 확보되었음. 정부는 핵심 소재·부품의 신속한 자립화를 위해 관련 사업 착수절차를 단축하는 등 속도감있게 사업을 진행해 나갈 계획임
□ 또한 내년부터 「소재부품장비산업특별회계」가 설치됨에 따라 안정적 재원 확보가 가능해질 전망이며,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등 총 21개 사업이 동 특별회계로 이관될 예정임
< 소재부품장비 관련 주요사업 ‘20년 예산 현황(억원) >
주요사업 |
‘19년(A) |
‘20년(B) |
소재부품기술개발 |
2,360 |
6,027 |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
641 |
1,834 |
소재부품산업미래성장동력 |
632 |
1,457 |
❷ Big 3 핵심산업 및 신산업 생태계 지원
□ 우리 경제의 핵심 미래성장동력으로 유망한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3개 분야(Big 3 핵심산업)에 대한 지원 및 로봇, 수소경제 등 신산업 분야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 예산도 증액되었음. 이를 통해 수소경제로드맵 등 중장기 육성 플랜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는 동력이 확보될 전망임
< 제조업 경쟁력 강화 관련 ‘20년 예산 현황(억원) >
구분 |
‘19년 |
‘20년 |
주요사업 |
시스템 반도체 |
472 |
1,096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 467억 |
바이오헬스 |
863 |
1,533 |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882억 |
미래차 |
1,442 |
2,227 |
시장자립형3세대xEV산업육성: 390억 |
로봇 |
991 |
1,268 |
지능형로봇보급 및 확산: 381억 |
수소경제 |
530 |
943 |
수소생산기지구축: 299억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