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연구개발 정책·예산과 연계 강화한 예타 대상선정 제도 개선

  • 등록일2020-04-27
  • 조회수2465
  • 발간일
    2020-04-2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예타#예비타당성
  • 첨부파일
    • pdf 200427 조간 (보도) 연구개발 정책.예산과 연계 강화한 예타 대상... (다운로드 12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hwp 200427 조간 (보도) 연구개발 정책.예산과 연계 강화한 예타 대상... (다운로드 11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연구개발 정책·예산과 연계 강화한 예타 대상선정 제도 개선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정책·예산과 연계 강화한 예타 대상선정 제도 개선

- 본예타와의 차별성을 명확히 하고, 제도 간소화로 부처의 부담을 완화 -

 

 윤회수 사무관 (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연구개발 예타’) 대상선정 제도를 개선하여본예타와의 차별성을 확립하고 정책·예산과의 연계성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연구개발 예타 대상선정 제도 개선은 다음 사항에 대한 개선 요구가 연구현장 및 관련부처에서 제기됨에 따라 추진하였다.

 

- 예타 대상선정과 본예타는 평가내용, 심층분석 측면에서 차이점은 있으나, 사업부처 입장에서는 일부 중복으로 받아들이는 부분이 존재했으며,

 

- 연구개발 예타를 신청하는 사업 중 과학기술 정책적 측면 및 연구개발 투자 관점을 고려한 사업 선별이 요구되었다.

 

- 또한, 다수의 위원회 운영과 여러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부처의 평가부담을 효율적·합리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었다.

 

 

 

□ 이번 제도개선은 예타 대상선정과 본예타의 역할분담 및 정책-예산-평가 연계체계 강화, 부처의 추진의지 적극 반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ㅇ 예타 대상선정은 국가차원의 상대평가 및 요건심사 역할, 본예타는 사업의 추진 타당성에 대한절대평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ㅇ 다수의 위원회로 운영되던 평가체계는 본예타를 자문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자문위원회(위원장: 과기혁신본부장)로 회의기구를통합하여 대상선정, 본예타 결과 등 연구개발 예타 전과정을 논의한다.

 

ㅇ 과학기술 정책-예산-평가 연계를 위해, 제출된 사업의 주요 국가 과학기술 정책과의 부합성 및 예산 관점에서의 재원 투입 필요성을 검토하여 예타 대상선정에 반영한다.

 

ㅇ 마지막으로, 부처의 사업 추진의지를 고려하기 위해 부처가 제출하는 사업 우선순위를 비중있게 반영한다.

 

ㅇ 이번에 추진한 제도개선은 정책연구(’19.4월~11월),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자문위원회 민간위원 간담회(‘20.2.24~3.2), 기술성평가 총괄자문위원회 논의(3.17), 관계기관 의견 수렴(3.19~4.6),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3.27~4.6) 등을 통해 현장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반영했다.

 

 

 

□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예타 대상선정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과학기술 정책-예산-평가 연계를 강화한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부처의 평가부담이 대폭 완화되고, 정책적으로 중요한 사업들이 예타 대상으로 선정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ㅇ 이번에 실시된 제도개선을 설명하고 ‘20년 제2차 예타 대상선정 절차를 안내하기 위해 4월 28(화)~29일(수), 14시~17시에 온라인 교육을 진행(www.castmedia.kr/rndyeta)할 예정이며, 5월 6일(수), 15시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