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제6차 한-독일 과학산업기술공동위 개최
- 등록일2020-06-24
- 조회수2337
-
발간일
2020-06-2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산업기술
- 첨부파일
한-독일, 과학‧산업기술 협력 기지개를 펴다
- 제6차 한-독 과학산업기술공동위 개최 (6.23, 화상) -
- NST‧율리히연구소 업무협약, 막스플랑크 연수프로그램 확대 등 -
김장호 사무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
노형철 사무관(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개발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독일 연방교육연구부와공동으로6월 23일 제6차 한-독 과학산업기술공동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하였다고밝혔다.
ㅇ 본 공동위는 1986년 체결된 한-독 과기협력협정에 따라 양국의 과학산업기술 정책 교류, 공동연구 협력, 연구기관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운영중이다.
ㅇ 이번 공동위는 한국 측에서는 과기정통부 정희권 국제협력관이, 독일 측에서는 연방교육연구부 수산네 부르거(Susanne Burger) 국제협력국장이 수석대표로 회의를 주재하였다.
□ 한-독 과학산업기술공동위(이하 ‘공동위’)는 2015년 독일에서 5차 회의가개최된 이후 5년 만에 다시 열린 공동위로서, 코로나19로 인해 인적교류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비대면 회의를 통해 양자 간 과학‧산업기술 협력 활동을 재개하는데 의미가 있다.
□ 이번 공동위에서는 양측의 연구개발 정책과 과학기술 중점사항에 대한정보를 공유하고, 그간 진행되었던 협력 사업들의 평가, 신규 협력 활동을 제안하는 자리를 가졌다.
ㅇ 독일 연방교육연구부와 과기정통부, 산업부는 한-독 양국의 산업체,주요 연구소 및 대학간 실용화 중심 기술협력을 위해 기존‘2+2형공동연구 프로그램’의 규모를 증액(과제당 15만유로/연→20만유로/연)하고, 에너지 전환과 경량소재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ㅇ 또한, 독일 연방교육연구부는 한국과의 협력 유망분야로서 수소‧에너지, 인공지능, 이동통신,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분야를 제안하였으며,과기정통부는 한-독 과학기술협력 단계별 이행안(로드맵)을 수립하여해당 분야를 포함한실질 협력이 이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ㅇ 주요 연구기관 별로 신규 협력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 독일 측에서는 응용기술 분야 강점을 가진 프라운호퍼 연구협회와거대연구 분야 강점을 가진 헬름홀츠 연구협회, 독일 연구재단과 독일 한림원(Leopoldina)에서 기존 협력 사례와 신규 협력에 대한계획을 발표하였다.
- 특히, 노벨상 사관학교라 불리는 막스플랑크 연구소를 활용하여기초과학 분야 대학 학부생의 연구 연수(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하는데 양국 정부가 긍정적으로 논의하였으며,
- 한국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독일의 헬름홀츠 연구협회 소속 율리히 연구소와의 양해각서(MoU) 체결에 합의하고, 앞으로 연구자교류와 공동연구 추진 등 협력활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 아울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에너지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수소, 에너지효율 등 차세대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공동연구 프로그램 신설을 통한 기술협력을 제안하였다.
□ 과기정통부 정희권 국제협력관은 “이번 공동위를 통해 독일과 과학산업기술 협력을 위한 정부 간 논의의 장이 다시 열렸다.”며,
ㅇ “대학과 기업, 연구기관의 협력이 활발한 독일과의 협력을 통해 산‧학‧연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혁신 인재양성 등 지원의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