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내 유통 인체조직, 최근 3년간 증가 추세

  • 등록일2020-07-30
  • 조회수2617
  • 발간일
    2020-07-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인체조직
  • 첨부파일


국내 유통 인체조직, 최근 3년간 증가 추세

식약처, 2019년도 인체조직 생산 및 수입 현황 발표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국내 115개 조직은행에서 제출한 인체조직 기증관리 및 이식 현황을 바탕으로 ‘인체조직 가공(생산) 및 수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에서 유통된 인체조직은 총 863,374개로 전년도(748,255개) 보다 15% 증가하였다고 밝혔습니다.

 

◈ 인체조직 : 신체적 완전성을 기하고 생리적 기능회복을 위해 이식하는 것으로 뼈, 연골, 근막, 피부, 양막, 인대, 건, 심장판막, 혈관, 신경, 심낭이 있으며, 뇌사자와 사망자로부터 기증받거나 생존자로부터 외과수술 시 제거되는 뼈 등을 기증받을 수 있음

 

 

< 국내 유통 인체조직 대부분은 ‘뼈’ >

□ 지난해 국내에서 유통된 인체조직은 뼈가 667,379개(77%)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155,339개, 18%), 건(19,614개, 2%), 양막(10,192개, 1%)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 (건) 근육을 뼈에 부착시키는 결합 조직 (양막)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

○ 국내 유통 인체조직은 크게 ➊국내 가공과 ➋수입으로 분류되며, 국내 가공 인체조직은 ➊-1국내 기증자의 인체조직을 가공한 것과 ➊-2해외 인체조직(원재료)을 수입하여 가공한 것으로 나누어집니다.

○ ➊국내 가공 인체조직은 지난해 748,368개로 전년도(638,741개) 보다 17% 증가하였으며, 뼈(8만 1,551개 증가)와 피부(2만 3,374개 증가)가 가장 많이 늘어났습니다.

※ 뼈 조직(국내 가공): (’18년) 505,069개 → (’19년) 586,620개

※ 피부 조직(국내 가공): (’18년) 119,977개 → (’19년) 143,351개

○ ➋수입 인체조직(완제)은 지난해 115,006개로 전년도(109,514개) 보다 소폭 증가하였으나, 심낭(207개 감소), 근막(252개 감소), 양막(330개 감소), 건(1,558개 감소)의 수입은 감소하였습니다.

 

 

< 국내 기증자 수 증가, 뇌사·사후 기증은 감소 >

□ 지난해 국내 인체조직 기증자 수는 1,063명으로, 전년도(904명) 보다 18% 증가하였습니다.

※ 국내 인체조직 기증자 수: (’17년) 1,606명 → (’18년) 904명 → (’19년) 1,063명

○ 생존 기증자는 935명으로 전년도(683명) 보다 37% 증가하였으나, 뇌사 기증자(92명)와 사후 기증자(36명)는 전년도(뇌사 기증자 144명, 사후 기증자 77명) 보다 각각 36%, 53% 감소하였습니다.

 

 

< 국내 자급률, 18.3% ➞ 13%로 감소 >

□ 국내 기증 인체조직을 가공한 수량은 112,141개로 국내 유통량의 13% 수준으로, 전년도(137,191개, 18.3%) 보다 줄었는데, 이는 뇌사・사후 기증자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 수입 인체조직(➊-2수입 원재료 국내 가공 및 ➋수입 완제품의 합)은 751,233개(87%)로, 전년도(611,064개, 81.7%) 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국가별 수입량은 미국이 434,188개로 전체 수입량의 88%를 차지하였고, 체코(57,164개, 7.7%), 네덜란드(14,442개, 1.9%)가 뒤를 이었습니다.

○ 유형별 국내 자급현황은 혈관(725개)과 판막(157개)은 전량 국내에서 공급되고 있으며, 양막의 경우 96%(9,776개)가 국내 기증으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 인체조직 자급현황: 양막(96%), 인대(88%), 신경(70%), 근막(63%)

※ (판막)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해 심장에 존재하는 막

 

 

□ 식약처는 인체조직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국내 자급률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과 관련하여,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많은 국민께서 인체조직 기증에 참여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습니다.

 

<첨부>

1. 최근 3년간 인체조직 생산(국내가공) 및 수입 현황(’19년 기준)

2. 최근 3년간 인체조직 기증자 현황(’19년 기준)

3. 최근 3년간 국내 기증조직 가공현황 및 수입현황(’19년 기준)

3-1. 최근 3년간 인체조직 국가별 수입현황(’19년 기준)

3-2. 최근 3년간 인체조직 유형별 국내기증가공 및 수입 현황(’19년 기준)

4. 조직은행 허가현황(’19. 12. 31. 기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