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전주기 치매극복기술 개발을 위한『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출범

  • 등록일2020-08-03
  • 조회수2452
  • 발간일
    2020-08-0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극복기술#치매#알츠하이머
  • 첨부파일
    • hwp 200803 조간 (보도) 전주기 치매극복기술 개발을 위한 치매극복 ... (다운로드 12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전주기 치매극복기술 개발을 위한『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출범 

- 9년간(’20 ~ ’28) 치매 예방・진단・치료 분야에 총 1,987억원 본격 지원 시작-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18.11)에 따라 치매 예방·진단·치료 등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 위하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단장 서울대 묵인희 교수)󰡕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상반기 사업단(장) 공모과정과 서면 및 구두 평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최종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사업단장을 선정하였다.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은 치매 질환 극복기술 개발을 위하여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9년간(‘20~’28) 총사업비 1,987억원(국비 1,694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 사업단은 ①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② 치매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③ 치매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등 3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치매극복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❶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국비 451억원)

 

○ 치매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과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병원인 및 기전 규명, 치매오믹스 분석 등 4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의 연구를 지원한다.

 

❷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국비 508억원)

 

○ 치매가 진행되어 회복이 어려운 신경세포 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치매를 발병 전에 예측하거나 발병 초기에 진단하기 위해 혈액·체액기반 조기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등 8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❸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국비 609억원)

 

○ 새로운 치매 발병 가설에 기반한 신규 치료제 개발이나, 치매 위험인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예방기술 개발 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료제 개발, 뇌내 약물전달 기술 개발 등 3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사업단이 예비타당성 조사 시 기획된 연구계획을 기본으로 현재 글로벌 동향 등을 반영하여 세부기획안을 마련한 뒤 8~9월 중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여 선정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치매발병을 5년 지연하고 연간 치매환자 증가속도를 50% 감소시킴으로써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치매는 증상이 일정 수준 진행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치료기술 확보가 핵심”이라며, 기초원천연구를 담당하는 과기정통부와 임상을 지원하는 복지부가 공동 운영하는 전주기 사업단을 통해 국민 치매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