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민간병원 중심의 빅데이터 기반 연구 생태계 마련

  • 등록일2020-09-25
  • 조회수2132
  • 발간일
    2020-09-24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데이터
  • 첨부파일
    • hwp [9.24.목.행사시작(16시)이후]_민간병원_중심의_빅데이터_기반_... (다운로드 10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9.24.목.행사시작(16시)이후]_민간병원_중심의_빅데이터_기반_... (다운로드 9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민간병원 중심의 빅데이터 기반 연구 생태계 마련

- 「보건의료데이터 중심 병원 합동 착수보고회」 개최 (9.24)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9월 24일(목)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임근찬)에서 2020년『보건의료 데이터 중심 병원』지원 사업의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보건의료 데이터 중심 병원” 지원사업은 민간병원의 방대한 임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치료기술 개선, 신약개발 등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붙임2 참조)으로,

 

지난 8월 누적 환자 수 100만 명 이상, 연구 역량 등을 갖춘 중대형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하였으며, 평가결과 5개의 컨소시엄(컨소시엄별 누적환자수 최소 700만 명~ 최대 1,300만 명)이 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 5개 컨소시엄 참여기관 현황 ]

  • (주관병원) 부산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연세세브란스병원
  • (참여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보라매병원, 서울성모병원, 아주대병원 등 20개 병원
  • (참여기업) 네이버비지니스플랫폼, 스마트헬스표준포럼, 한미약품, 이지케어텍 등 38개 기관

 

의료기술혁신의 핵심 기반은 “데이터”로 한국의 대형병원은 이미 핀란드(556만 명) 등 다른 나라의 인구 정도 이상 규모의 방대한 임상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의료데이터의 품질, 범위 면에서도 뛰어나, 이들 빅데이터를 잘 활용할 경우 희귀난치성 질환 신약개발이나 의료 인공지능 개발 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보건의료데이터 중심 병원” 지원 사업은 대형병원에 이미 집적된 우수한 임상데이터에 기반한 혁신적 연구를 우선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의료데이터 간 연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착수보고회에서는 5개 컨소시엄이 그간 준비한 세부사업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코로나19 지속 상황에서도 사업이 충실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상호 간 협업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컨소시엄별로 󰋾임상데이터웨어하우스(CDW:Clinical Data Warehouse) 구축, 󰋾암, 심뇌혈관질환 등 주요질환별 특화DB 구축, 󰋾안전한 데이터 활용 환경 구축, 󰋾표준화위원회 구성‧운영 등의 사업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양질의 고가치 의료데이터를 활용하여 진단·치료법 개발, 신약·의료기기 개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100여 개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아울러, 기관별로 독자 사용하고 있는 임상용어 등에 대한 표준화 협력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컨소시엄별 표준화 활동뿐만 아니라 컨소시엄 공동의 표준 논의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데이터 중심병원이 보건의료 빅데이터 전주기(수집→축적→개방→활용)에 걸쳐 선순환적 생태계 구축에 핵심 주자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 데이터표준활용센터를 설치·운영하여, 데이터 중심 병원의 사업 수행을 지원하고, 의료데이터 품질관리·상담(컨설팅) 등을 통해 정제되고 표준화된 정보 활용을 지원한다.

 

또한, 이번 8월에 개정 시행된 데이터3법의 후속 조치로 민감한 의료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지원하고자 『보건의료데이터 활용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현장에 배포할 예정이다.

 

보고회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데이터 중심 병원의 임상데이터를 활용한 치료기술 개선, 신약 개발 연구 등으로 국민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데이터 기반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데이터 중심 병원이 민간분야의 빅데이터 플래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산·학·연·병이 연계되는 데이터 클러스터를 육성하겠다.”라고 밝혔다.

 

< 붙임 > 1. 착수회 개요2. 보건의료데이터 중심 병원 사업 개요3. 보건의료데이터 중심 병원 사업 참여현황4. 데이터 기반 연구과제 목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