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관계부처 합동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확정

  • 등록일2020-10-14
  • 조회수2848
  • 발간일
    2020-10-12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AI#반도체
  • 첨부파일
    • hwp 201012 16시40분 (보도) 관계부처 합동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다운로드 14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관계부처 합동「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확정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제2의 D램으로 본격 육성 -

-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으로 인공지능·종합반도체 강국 실현-

- 2030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천명 달성 -

 

 

◈ (전략1) 선도자형 혁신기술·인재 확보 

➊ 인공지능(AI) 반도체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으로 글로벌 최고 기술 리더십 확보 

➋ 세계 1위 메모리 역량으로 신개념 PIM 반도체 초격차 기술에 도전 

➌ 국가 인공지능·데이터댐 기반에 인공지능 반도체 시범 도입·실증 

➍ 민·관 공동투자, 선도대학 육성으로 ’30년 고급인재 3,000명 양성

 

◈ (전략2)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 

➊ 1사 1칩(Chip) 프로젝트를 통해 ’30년까지 수요 맞춤형 인공지능(AI)칩 50개 출시 

➋ 기업간 연대·협력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역량 강화 + 공정혁신밸리 조성 

➌ 인공지능(AI) 반도체 혁신기업 스케일업(Scale-up)을 촉진하는 대규모 뉴딜펀드 지원  

➍ ’30년 혁신기업 20개사 육성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혁신설계센터” 신규 구축


□ 정부는 10월 12일(월)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국무총리 주재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2.0)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였다.


 

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개요

 

 

 

 

(일시·장소) 10.12() 14:50~16:40,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2판교)

(참석자) 국무총리, 산업부,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 장관 및 민간 전문가

(주요내용) 사전행사 :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 현장방문 및 AI 반도체 기업 시연

장관회의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1호 안건) 3건 상정

 


【 수립 배경 】

 

□ 정부는 그간 ‘인공지능(AI)’과 ‘시스템반도체’를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19.4), 「인공지능(AI) 국가전략」(’19.12), 「디지털 뉴딜」(‘20.7) 등을 통해 집중 지원중이다.

 

* D(데이터)∙N(5G)∙A(인공지능) + BIG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ㅇ 인공지능(AI) 반도체는 이러한 국가 핵심전략의 공통분모로, 최근 4차 산업혁명,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라 인공지능·데이터 생태계의 핵심기반*이자 시스템반도체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 ’데이터댐 → AI의 데이터 학습 → AI의 전산업 확산‘을 가속화하는 연결고리(트리거)

** 연평균 성장률(‘18~’24, Gartner) : D램 –0.5%, 낸드플래시 10.1%, AI 반도체 35.8%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주요 대책 및 비전

 

AI 국가전략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차세대 먹거리 + 성장 가능성

 

AI 반도체 중요성

 

AI·데이터 생태계 핵심 기반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은 아직 지배적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로, 지금부터의 국가적 대응 노력이 글로벌 주도권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ㅇ 이에 정부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제조 역량 등 우리의 강점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집중 육성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였다.

【 인공지능(AI) 반도체 개요 】

 

□ (개념) “학습·추론 등 인공지능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높은 성능, 높은 전력효율로 실행하는 반도체”로 인공지능(AI)의 핵심두뇌이다.

 

ㅇ 인공지능(AI) 반도체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분야로 시스템반도체가 데이터의 ‘수집 → 전송 → 연산’ 등 전 과정에 활용될 때, 이 중 인공지능(AI) 반도체는 데이터의 학습·추론 등 인공지능의 핵심 연산을 수행한다.

 

< AI 데이터 선순환 구조와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반도체 역할 >

데이터 활용

 

수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908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pixel, 세로 19pixel

저장·가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90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pixel, 세로 19pixel

전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90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pixel, 세로 19pixel

연산·제어·학습·추론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5G

인공지능

 

 

 

 

 

 

시스템

반도체

역할

 

센서

1.png

데이터댐

2.png

모뎀

3.png

프로세서

4.png

 


□ (기술) 딥러닝 등 인공지능(AI) 기술혁신(‘12년~)으로 본격화되었으며,
(1세대)CPU+GPU ⇒ (2세대)NPU* ⇒ (3세대)뉴로모픽**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 (NPU : Neural Processing Unit) 인간의 뇌신경을 모방한 AI 알고리즘의 연산에 최적화된 프로세서

** (Neuromorphic) 新소자, 新설계를 통해 집적도와 전력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한 프로세서

 

 

【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중요성 】

 

□ 인공지능(AI) 반도체는 인공지능·데이터 생태계의 혁신과 미래 반도체 신시장 주도권 확보, 디지털 뉴딜의 성공 등을 위해 필수적인 핵심 기술분야이다.

 

ㅇ (산업융합) 인공지능(AI) 반도체는 서버, 모바일,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합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며,


5.png

인공지능 반도체는 데이터 댐으로 수집·가공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학습하고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전 산업 인공지능 융합을 촉진, 디지털 뉴딜가속화


ㅇ (신시장 창출) 세계시장은 아직 초기이나, ‘30년까지 향후 10년간 6배 성장하여 총 1,17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AI 반도체 시장 전망(’18’30) >

< 시스템반도체 시장 중 AI 반도체 비중 >

6.png

7.png

※ 출처 : Gartner(2020), ’24년 이후는 KISDI 전망


  

【 비전 및 목표 】

 

□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으로 인공지능·종합반도체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000명 양성을 위한 2대 추진전략과 6대 실행과제를 마련하였다.

 

8.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