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내 과학기술 학회, 함께 모여 미래를 준비한다

  • 등록일2020-10-26
  • 조회수2072
  • 발간일
    2020-10-2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학회#미래포럼
  • 첨부파일

 

미래를 그릴 수 있는 과학기술의 힘,국내 과학기술 학회, 함께 모여 미래를 준비한다

 

- 제1회 과학기술 미래 대중토론회(포럼)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10월 23일(금) 엘타워에서 최기영 장관 주재로 제1회 과학기술미래 대중토론회(포럼)를 개최했다.
 ㅇ 지난 8월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발표한 과기정통부는 향후 20~30년 이후 미래세대가 당면할 주요 이슈들에 대해, 과학기술계 차원에서 준비해야 될 사항들을 논의하기 위해 과학기술미래 대중토론회(포럼)를 기획했다.
   * 제 12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8월 26일)
 
 
□ 이날 열린 행사에는 ‘미래 바이오·의료 시대를 준비하는 과학기술계의 역할’을 주제로 열렸으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한국물리학회 등 과학기술 분야 9개 학회*가 참석했다.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대한기초의학협의회, 대한화학회, 한국물리학회, 대한수학회, 한국화학공학회, 한국공업화학회, 대한약학회, 대한전자공학회
 
 
□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발제가 이루어졌다.
 ① 성균관대 권재영 교수는 ‘뇌질환, 난치병 극복을 위한 생명과학 연구개발(R&D)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퇴행성 뇌·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시장 현황·전망 및 생명과학 연구개발(R&D)  활성화 방안 등을 제안했다.
 ②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윤일 교수는 ‘노화개선·극복을 위한 다학제간 융합기술 개발’을 주제로 노화극복과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진단, 생명기술‧정보기술‧나노기술(BT·IT·NT) 융합연구 및 원천기술 개발 방향을 제안했다.
 
 
□ 자유토론에서는 난치질환 문제, 노화 극복 및 건강 수명 연장, 바이오·의료 기술개발 방향 등 과학기술계가 주도적으로 풀어야 하는 미래 이슈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어졌으며,
 ㅇ 각 이슈들에 대해 학회, 과학기술 단체 등이 협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었다.
 
 
□ 참석자들은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배경은 진단키트, 역학조사, 자가격리 앱 등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이며,
 ㅇ 앞으로 더욱 다양하고 불확실해질 변화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기술계가 책임과 역할을 키워나가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 과학기술미래 대중토론회(포럼)는 매달 개최될 예정으로,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 학회 등이 참여하여 환경오염, 기후변화, 식량안보 등 미래에 당면하게 될 다양한 문제들과 과학기술계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