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 착수보고회 개최

  • 등록일2020-10-29
  • 조회수2165
  • 발간일
    2020-10-29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민건강#스마트#연구개발
  • 첨부파일
    • hwp [보도참고자료]_국민건강_스마트관리_연구개발사업_착수보고회_... (다운로드 10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 착수보고회 개최
-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및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개발 분야 9개 과제 발표·토론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10월 29일(목)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 등 지능형 기술(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건강관리서비스, 일차 의료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를 개발·고도화하는 사업으로 올해부터 2024년까지 5년 간 진행된다.
 
□ 이번 착수보고회에서는 사업공모 및 평가(’20.6~8월)를 통해 선정된 9개 연구과제의 내용과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성공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한 보건복지부-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단(단장 서울대학교 홍윤철 교수)-연구기관 간 협력 체계 및 연계 방안을 논의한다.
 ○ 선정된 9개 연구과제는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개발과제와 일차의료기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개발과제로 나뉘며,
 ○ 이번 착수보고회에서 인구집단별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분야에서는 ▲ 보건소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고도화 모형 개발(중앙대학교 장숙랑 교수), ▲ 사업장 근로자 대상 건강관리체계 모형 개발(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고상백 교수, 연세대학교 윤진하 교수, 을지대학교 김숙영 교수)이,
 ○ 일차 의료 기반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개발 분야에서는 ▲ 일차 의료 기반 만성질환 환자 점검(모니터링) 고도화 모형 개발(가톨릭대학교 윤건호 교수, 강북삼성병원 강재헌 교수), ▲ 만성질환 관리 신규 서비스 모형 개발(국립암센터 장윤정 교수, 인제대학교 구호석 교수, 충북대학교 강민규 교수)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이스란 건강정책국장은 “감염병 위험에 일상적으로 대비해야 하는 환경변화 속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능형 기술 활용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 “이번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정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확산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사업단을 운영하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조인성 원장은 “사업단은 연구 초기 단계부터 서비스 특성을 반영한 연구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사회 연결망(네트워크)을 기반으로 실효성 있는 건강증진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 착수보고회 개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