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막는 공기정화 특허 크게 증가
- 등록일2020-11-03
- 조회수2803
-
발간일
2020-11-03
-
출처
특허청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세먼지#바이러스#공기정화
- 첨부파일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막는 공기정화 특허 크게 증가
- 실내 항균·항바이러스 공기정화 특허출원 ’16년 이후 총 238건, ’19년 대비 28% 증가 -
□ 특허청(청장 김용래)에 따르면, ‘16년부터 최근 5년간 ‘실내 항균항바이러스 공기정화 분야’에서 특허 출원된 238건을 분석한 결과,
ㅇ ’16년 38건에서 ’20년(9월 기준) 64건으로 연평균 14%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이대로라면 ’20년(12월 기준)에는 70건 이상 출원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1]
ㅇ 이미 ’20년(9월 기준)의 특허출원 건수(64건) 만으로도 ’19년 특허출원 건수(50건) 대비 28% 큰 폭 증가한 수치이다.
ㅇ 구체적으로 보면, 3월〜7월에만 49건 출원되었고, 특히, 4월(1건),6월(1건), 7월(12건)엔 두 자릿수 출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선언되고 국내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시기와 맞물려서 출원이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5년간 미세먼지 및 항균ㆍ항바이러스 특허출원 현황>
□ ‘16년부터 최근 5년간 주요 세부기술분야별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ㅇ △필터 종류 63건(26.5%), △자외선(UV) 살균기술 38건(16.0%), △필터 구성물질 25건(10.5%), △물로 세정하는 습식기술 20건(8.4%), △플라즈마 음이온1)기술 19건(8.0%), △전기집진기술 7건(2.9%) 등 실내 항균 항바이러스 공기정화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붙임2]
ㅇ 주목할 점은 병실 내 음압기2)에 자외선(UV) 또는 살균 기능의 필터등을 접목한 특허출원의 경우, ‘19년 2건에 불과하던 것이 ‘20년3월 이후에만 15건이 출원되었는데,
ㅇ 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 관련 일선에서 긴급히 요구되는기술에 발맞춰 신속한 특허출원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 또한, ‘16년부터 최근 5년간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
ㅇ △중소기업 95건(39.9%), △개인 87건(36.6%), △대기업 33건(13.9%),△대학 연구소 23건(9.7%) 순으로, 중소기업과 개인의 출원 비중이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붙임2]
ㅇ 그 이유는 실내 공기정화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가운데, 항균 항바이러스 공기정화 기술은 소자본의 기업이나개인의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특허청 류동현 화학생명기술심사국장은 “그간 실내 공기정화 분야에서국내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왔는데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여항균 기능을 가진 공기정화 기술까지 발전시킬 경우 국내 산업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허청도 관련특허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정확한 심사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겠다”고강조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