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안전한 보건의료 가명정보 결합 활용의 현장 조기 안착을 위해 나선다.
- 등록일2020-11-13
- 조회수2291
-
발간일
2020-11-12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가명정보#결합
- 첨부파일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과 함께 11월 12일(목) 2시부터 보건의료분야 결합전문기관(이하 전문기관)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지난 10월 28일, 보건복지부 장관은 안전한 가명* 정보의 결합·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3개 기관(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보건의료분야 결합전문기관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 개인정보의 일부 삭제 등 가명 처리하여 추가정보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
** (10.29.목.석간) 안전한 가명정보 결합으로 똑똑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본격화
○ 지정된 전문기관은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3, 동 법 시행령 및 관련 고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개인정보처리자 간의 가명정보를 안전하게 결합, 반출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가명정보의 결합 및 반출 등에 관한 고시
< 결합 전문기관 주요 기능 및 역할 >
(가명정보 결합)과학적 연구 등을 위해 2개 이상의 가명정보 결합 (폐쇄공간 제공 및 처리 지원)결합신청자가 결합된 정보를 가명·익명처리할 수 있도록 기술적·관리적·물리적 조치된 공간과 필요한 지원 제공 (반출심사)반출심사위원회 구성 및 결합된 정보 반출 승인 |
|
가명정보 결합 활용사례 예시① |
|
|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원인 분석 연구
=> 백신 임상시험 참여자의 흡연, 음주 등 생활습관 정보와 과거 진료 내역을 교차 분석하여 백신부작용 원인을 합리적이고 신속하게 파악 가능
|
|
가명정보 결합 활용사례 예시② |
|
|
|
|
▣ 학교내 방역 안전 강화 정책 연구
=> 학생의 진료기록, 건강검진자료와 출결 기록, 대면/비대면 수업 여부 등과의 교차 분석을 통해 감염병 발생률 변화 양상 확인
|
|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수요조사(’20.11월) |
|
|
|
|
|
|
공공보건의료데이터 내역 |
|
|
|
|
▸(건보공단) 가입자 자격‧보험료, 진료‧투약 내역, 건강검진 및 생활습관, 장기요양보험, 공급자 관련 정보(의료기관, 검진기관, 요양시설)등 약 3조4천억 건(356TB) ▸(심평원) 진료내역, 실시간 투약내역(DUR), 의약품 유통, 의료자원 등 약 3조 건(300TB) ▸(국립암센터) 암 발생 현황 통계 ▸(질병관리청) 감염병・예방접종・국민건강영양조사정보 등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