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전국 병원 대상 정보화 실태조사를 시작합니다!

  • 등록일2020-11-17
  • 조회수2386
  • 발간일
    2020-11-16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데이터#정책#보건의료#정보화
  • 첨부파일
    • pdf [11.17.화.조간]_데이터_기반_정책_수립을_위한_전국_병원_대상_... (다운로드 9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hwp [11.17.화.조간]_데이터_기반_정책_수립을_위한_전국_병원_대상_... (다운로드 8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전국 병원 대상 정보화 실태조사를 시작합니다
- 4주간(11.16∼12.11)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실시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1월 16일(월)부터 4주간 전국 총 570개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는 처음으로 전반적인 병원 정보화 실태를 조사*하는 것으로, 국내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및 발전 속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다.
    * 이전 정보화 실태조사(’15, ’17)는 일부 사업에 한정되어 시행된 제한적인 조사
   - 정보통신기술(ICT)과 보건의료 분야의 융합이 증가하고, 올해 데이터 3법이 시행(’20.8.5)에 따라, 디지털 뉴딜 시대의 보건의료정보정책 수립의 기초 통계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국내 의료기관의 보건의료정보화에 관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 보건의료데이터 수집·관리·활용을 위한 기반 강화, 기술발전과 사회적 요구에 따른 신규 정책과제 발굴·추진 등*에 폭넓게 활용할 계획이다.
    * 정책 수행의 장애 및 실현요소를 분석하여 보완과제 발굴, 의료기관의 데이터 활용 기반(인프라) 강화 전략 수립 등
 
□ 이번 실태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재)한국보건의료정보원, ㈜한국갤럽조사연구소, 대한병원정보협회, 대한보건의료정보  관리사협회가 수행한다.
 ○ 전국 총 570개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11월 16일부터 12월 11일까지, 총 4주간 실시한다.
    * 상급종합병원(42개소)과 종합병원(311개소)은 전수조사, 병원은 계통적 표본추출을 통해 선정(1,431개소 중 217개소 선정)
 ○ 설문은 ① 정보화 기반, ② 정보화 현황, ③ 진료 활용체계, ④ 연구 활용체계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상급종합병원 및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총 94문항, 300병상 미만 종합병원과 병원은 총 4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설문 구성 >

A.정보화 기반

(데이터 생성)

B. 정보화 현황

(데이터 관리)

C. 진료 활용체계

(데이터 일차활용)

D. 연구 활용체계

(데이터 이차활용)

A1. 정보시스템

B1. EMR1)현황

C1. EMR 고도화

D1.데이터 활용 및 공유체계

A2.정보화 거버넌스

B2. EMR 인증

C2. 진료정보교류

D2. 데이터 분석 환경

A3. 정보화 표준

B3. 개인정보보호

C3.PHR2)

(환자 편의기능 포함)

D3. 데이터 활용지원 기반

A4. 교육 및 인력양성

B4. 정보 보안

C4. 스마트병원

 

   1) EMR : 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2) PHR : Personal Health Record (개인건강기록)
 ○ 조사는 이메일·방문 조사 등을 통해 진행되며, 조사결과는 기본 및 심층 분석을 거쳐 내년 3월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 조사된 모든 내용은 정책수립을 위한 통계자료로만 이용
 ○ 실태조사 연구책임자인 이재호 교수(서울아산병원 생명정보학과 교수)는 “그동안 국내 보건의료정보화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였는데, 실제 의료현장의 정보화 실태를 파악하고, 근거 기반 의료정보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라고 말했다.
 
□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의료기관 종별 보건의료정보 현황 및 수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외국과의 보건의료정보화 수준 비교도 가능하다.”라고 전하면서,
 ○ 아울러 “향후 주기적으로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정책적 지원 요인 등 확인하고, 실효성뿐만 아니라 국민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보건의료정보정책 수립, 보건의료데이터 발전 전략 등에 활용하겠다.”라고 밝혔다.

< 붙임 > 1.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개요
          2.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홍보책자(리플렛)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