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기초ㆍ원천 연구성과 확산체계 고도화 전략 발표
- 등록일2020-11-18
- 조회수3199
-
발간일
2020-11-17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원천#연구성과#고도화
- 첨부파일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체계 고도화 전략』발표
▸분산된 연구성과 사업화 지원사업(8개)을 3단계로 통합 운영
▸범부처『연구성과 확산 통합 네트워크(KTTN)』구축
▸공급(연구자)-수요(기업) 간극 해소를 위한 ‘5개 중개연구단’ 가동
▸공공기술 사업화 기업 대상의 총 800억원 규모 펀드 조성
(전략1:성과지향적 연계) 정책‧사업간 단절없는 지원체계 구축
❶ (통합모델) 연구성과 확산 지원사업의 기능적통합(3단계‧6모듈)운영 추진
❷ (중개연구/조직) 연구성과 이어달리기의 바톤존(중개연구/중개조직) 강화
❸ (전문기관) 씨드창출(연구재단)-씨드육성(일자리진흥원)간 협업 프로토콜확립
(전략2:협업체계 심화) 혁신주체간 일체화된 협업뒷받침
❹ (네트워크) 범부처 연구성과 확산 통합 네트워크(KTTN) 구축
❺ (연구개발) 시장 중심의 국책연구추진 및 연구성과의기업흡수역량강화
❻ (선도사업)OSMU(One Source Multi Use)型 기초‧원천 씨드 육성선도프로젝트 추진
(전략3:플랫폼 고도화) 연구성과 확산 인프라혁신‧고도화
❼ (연구산업) 제조‧IP‧금융분야 연구성과 사업화 서비스 플랫폼고도화
❽ (정보관리) 연구성과 사업화 정보유통‧이력관리시스템 고도화
❾ (지역) 지역 기반의 연구성과 확산‧사업화 체계 구축 |
□ 정부는 11월 17일(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이 주재하는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 간 영상회의로 개최하고,『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체계 고도화 전략』을 확정하였다.
|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개요> |
|
|
|
|
▪(일시/장소) ’20.11.17(화) 15:30~17:00 / 정부서울청사–정부세종청사간 영상회의 ▪(참석자) 과기정통부, 산업부 등 관계부처 장‧차관 및 민간전문가 ▪(주요내용)『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전략(4호 안건)』등 4건 상정 |
【수립배경】
□ 동 전략은 우수 연구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등 정부 R&D 성과제고를 위해 최근 발표된 주요 정책기조*를 과기정통부 등의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체계 전반에 구현‧발전키 위해 마련되었다.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방안(’20.10.)』,『제7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20.9.)』등
< 정부 R&D 성과제고 주요 전략과의 관계 >
|
【전략①:정책‧사업의 성과지향적 연계 강화】
【현행】 【개편(통합모델 적용)】 |
|
ㅇ (중개연구) 연구성과의 수요-공급 간극을 단기(3년 이내) 극복하기 위한 5개 중개연구단(바이오, 나노‧소재, ICT 융합 등 5개 분야)을 신설(’21)하여, 연구단별로 3년간 年 28억원(정부안)을 지원한다. |
|
❸ 연구성과 창출‧활용 전문기관간 협업‧소통체계를 확립한다.
|
** 어느 기술정보 사이트에 접속하더라도 연계된 他사이트의 정보에 접근 가능
|
|
❽ 연구성과의 기업 수요정보 및 사업화 이력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ㅇ (기업수요 분석 시스템) 기업 R&D 현황 정보, 기술애로 데이터 등을 토대로 기술수요 DB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인공지능)후 대학‧출연(연)등에 제공하여 연구초기부터 기업수요를바탕으로 연구개발 할 수 있도록지원한다.(’21) |
|
ㅇ (실증플랫폼) 지역 내에서 공공연구성과를실증하고 실증데이터를환류하기 위해 R&D 특구를 중심으로 ‘지자체+지역기관+커뮤니티’로 구성된 실증테스트베드구축에 착수한다.(’20~ ) |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