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산업부, 내년도 예산 11조 1,860억원 확정
- 등록일2020-12-03
- 조회수2120
-
발간일
2020-12-02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부#예산
- 첨부파일
② 제조현장의 디지털화 및 미래먹거리 육성, ③ 수출 및 투자활력 회복 지원
▪농촌 태양광 융자: (‘20년) 2,285억원 → (’21년) 3,205억원 ▪산단 태양광 융자: (‘20년 추경) 1,000억원 → (’21년) 1,500억원 ▪주민참여자금 융자: (‘20년 추경) 365억원 → (’21년) 370억원 ▪녹색보증: (’21년, 신규) 500억원 ▪도심태양광 융자: (’21년, 신규) 200억원 |
ㅇ 이외에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한계돌파형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재생에너지 관련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R&D 예산이 대폭 확대되었다. 또한 세계 주요국들이 저탄소 경제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 신재생 분야 중소중견기업들이 해외에 본격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예산 등이 증액 편성되었다.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 (‘20년) 2,534억원 → (’21년) 2,839억원 ▪신재생에너지산업 해외진출지원: (‘20년) 48억원 → (’21년) 69억원 |
□ 수소경제 조기 구현을 위해 관련 예산지원이 강화된다. 수소 생산물량 확대를 위해 수소 생산기지를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수소 출하센터 구축을 위한 예산을 신규 편성하였다. 또한 수소 유통 활성화를 위해 수소 운송장비 구축(튜브 트레일러) 및 수소충전소 모니터링 예산 등이 신규 반영되었으며, 화석연료 대신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그린수소 기술개발 예산도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수소생산기지구축: (‘20년) 299억원 → (’21년) 666억원 ▪수소유통기반구축: (’21년, 신규) 36억원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시스템 기술개발: (’20년 추경) 40억원 → (’21년) 100억원 |
□ 분산형 전원체계에 맞춰 계통망을 혁신하기 위한 예산지원이 확대된다.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기의 가동상황을 실시간 점검할 수 있는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및 공공 ESS 설치 예산 등이 신규 반영되었다. 학교 주변 전선·통신선의 공동지중화를 위한 예산이 확보되어 내년부터 본격 지원이 시작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계통수용 확대 공공 ESS 구축: (’21년, 신규) 182억원 ▪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21년, 신규) 60억원 ▪전선로 지중화 지원: (’21년, 신규) 200억원 |
□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갖춘 우리나라 상황을 고려하여, 제조업의 친환경화도 강력히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산단 내 입주기업들의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원천감축을 위해 공정개선·설비보급을 지원하는 클린팩토리 구축 사업 예산이 크게 확대되었으며, 산업계의 혁신적 탈탄소 신기술 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한 예산 등을 증액 편성하였다. 이외에도 재제조 등 자원순환을 지원하는 사업들의 예산이 확대되었다.
▪산단 내 클린팩토리 구축: (‘20년 추경) 31억원 → (’21년) 203억원 ▪제철공정 내 CO2 회수활용기술기술개발(R&D): (‘21년, 신규) 58억원 ▪순환자원이용 희소금속회수 공통활용기술개발(R&D): (’21년, 신규) 50억원 |
▪산업지능화 선도밸류체인 육성(R&D) (’21년, 신규) 76억원 ▪산업디지털전환 확산 지원체계 구축 (‘20년 추경) 15억원 → (’21년) 30억원 |
▪산단 혁신데이터센터 (‘20년) 30억원 → (’21년) 34억원 ▪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 (‘20년) 147억원 → (’21년) 350억원 ▪산단 스마트편의시설 (‘20년) 130억원 → (’21년) 285억원 |
▪소재부품기술개발(R&D) (‘20년) 6,027억원 → (’21년) 8,866억원 ▪소재부품기술기반구축(R&D) (‘20년) 1,833억원 → (’21년) 1,954억원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사업(R&D) (‘20년) 1,005억원 → (’21년) 1,332억원 |
▪글로벌K-펩리스육성기술개발(R&D) (’21년안, 신규) 60억원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R&D) (‘20년) 302억원 → (’21년안) 641억원 ▪바이오나노산업개방형 생태계조성(‘20년) 208억원 → (’21년안) 269억원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21년안, 신규) 200억원 |
▪무역보험기금출연 : (‘20년) 2,960억원 → (’21년) 3,500억원 ▪수출지원기반활용(수출바우처): (‘20년) 731억원 → (‘21년) 817억원 ▪기업인 출입국지원 : (‘21년, 신규) 10억원 |
▪외투기업 현금지원: (‘20년) 550억원 → (’21년) 600억원 ▪국내복귀투자보조: (‘20년 추경) 200억원 → (’21년) 500억원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