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스마트농수산업 확산을 위한 그린바이오 연구개발 투자효율화 전략 발표

  • 등록일2020-12-04
  • 조회수2314
  • 발간일
    2020-12-03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농수산업#그린바이오#연구개발#R&D
  • 첨부파일
    • hwp 201203+즉시+(보도)+스마트농수산업+확산을+위한+그린바이오+연구... (다운로드 17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학기술기반 농수산업 4.0시대 구현을 위해

『스마트농수산업 확산을 위한 그린바이오 연구개발 투자효율화 전략』발표

 

- 농업분야 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80.0%(’18년)에서 84.6%(’24년 목표)로 향상 -

- 이를 통해 농수산업 부가가치 34.5조원(’18년)에서 35.5조원(’24년 목표)으로 확대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주요 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제8회 바이오특별위원회(서면심의)에서 ‘스마트농수산업 확산을 위한 그린바이오 연구개발 투자효율화 전략(이하 ‘투자효율화 전략’)’을 발표했다.
   ※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20.11.17, 과기장관회의)」의 후속조치로 ICT·BT 등 첨단과학기술 융복합을 통해 스마트농수산업 핵심기술 확보 및 농수산업의 고도화 촉진
 
【수립배경】
□ 본 투자효율화 전략은, 생산, 유통ㆍ소비 관련 기술 고도화 및 연계체계 구축 등을 통해 기존에 발표된 생명자원 중심의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20.9.)‘ 등을 보완하고, 농수산업 전주기 관점에서의 투자 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 그린바이오 관련 정부 정책현황 분석 > (공백영역 :       )

noname01.png

 
□ 그 동안 농수산업 분야 연구개발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농수산업 분야의 첨단화가 가속화되면서 각 부처별 지원체계를 넘어 IT 등 타 분야의 발전된 첨단기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융복합 연구개발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ㅇ 이에, 민간이 포함된 다부처 협업 융복합 연구기반을 확충하고, 생산에서 소비까지 첨단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데이터 선순환, 주요 핵심기술 및 부품ㆍ장비의 기술경쟁력 확보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투자효율화 전략을 마련하게 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