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2021년 나노 및 소재 분야 원천기술개발에 2,879억원 투자

  • 등록일2020-12-16
  • 조회수2309
  • 발간일
    2020-12-1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원천기술개발#나노#소재
  • 첨부파일
    • hwp 201216+조간+(보도)+2021년+나노+및+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에+2... (다운로드 12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과기정통부, 2021년 나노 및 소재 분야 원천기술개발에 2,879억원 투자

- 2021년도 나노 및 소재 분야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확정 -

- 미래기술연구실(34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57개) 등 지원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2,879억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에 확정된 계획은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예산(소재·부품·장비 특별회계 기준) 4,173억원 중 약 70%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약 25%가 증가한 규모이다.

□ 특히, 내년부터는 보다 체계적인 사업 관리와 연구현장의 편의성 및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해 유사한 성격을 가진 과제들을 묶어 ①미래기술, ②핵심기술, ③사업화, ④팹 고도화, ⑤연구혁신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맞춤형 지원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분

주요내용

‘21년 예산(단위:억원)

미래기술

신시장 창출을 선도할 미래유망 원천기술 확보

1,020

핵심기술

소부장 핵심품목 연계 등 주력산업 핵심소재 확보

832

사업화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의 사업화 지원

30

팹 고도화

나노팹 시설·장비·서비스 고도화 및 활용 지원

643

연구혁신

나노·소재 R&D의 효율성 및 전략성 제고

-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활용 체계 구축

- 소부장 전문인력 양성 및 기업파견 지원

352


1. 미래기술
□ 미래 기술수요에 대응하고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선도할 차세대 나노·소재 유망 원천기술 확보에 1,020억원을 투자한다.

ㅇ ▴8nm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용 무기 포토레지스트, ▴맥신(타이타늄과 탄소가 층층이 쌓인 2차원 나노물질) 기반 고성능 전극소재 등 혁신적·도전적 연구주제*(8개 → 30개 내외, 181억원) 및 미래선도품목**(신규, 4개 내외, 20억원) 개발을 위한 ‘미래기술 연구실’을 확대할 계획이다.
* 연구주제에 대한 기술수준 및 산업수준을 고려하여 선도형(기술수준↑산업수준↓), 경쟁형(기술수준↓산업수준↑), 도전형(기술수준↓산업수준↓)으로 지원 다각화
** 향후 5년 이후 미래 공급망을 창출·선점할 수 있는 유망품목(’21.上 선정예정) → 전략형

ㅇ 또한, 그간 축적해 온 나노융합기술이 산업적으로 구현 가능한지 검증(시제품 제작)하는 과제를 새롭게 지원하며, 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하여 바이오융합분야를 우선 지원(8개, 60억원 내외)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계산과학 등 신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신소재 발굴 연구단(28개, 415억원), 영상/소리 동시구현 디스플레이 소재, 체내 삽입용 유연 전자소자 등 계속과제(60여개, 344억원)도 지속 지원한다.

2. 핵심기술
□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100+85개)과 연계를 바탕으로 산·학·연이 한 팀(기업 필수참여)이 되어 원천기술 기반형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국가핵심소재 연구단’을 확대 선정(‘20년 32개 → ’21년 57개, 832억원 내외)하고, 이어달리기, 함께달리기 등 부처협업을 강화한다.
* (특화형) 품목:기술=1:1 매칭, 특정품목의 성능구현을 위한 대책기술 확보 지원(플랫폼형)품목:기술=多:1 매칭, 복수의 품목 성능향상에 기반이 되는 범용기술 확보 지원
 
ㅇ (특화형) ‘21년 ▴비백금 귀금속촉매 및 비탄소담지체 기반 수소생산 촉매 소재, ▴나노 LED 디스플레이 소재 등 10개 연구단을 신규로 선정(’20년 15개 → ‘21년 25개)하며,
 
- 이어달리기 전용사업으로 지정하여 과제기획 단계부터 산업부와 협업하고, 과제종료 전 상용화 과제 기획에 착수하여 연구성과를 신속하게 상용화 및 공급망 진입으로 연계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