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2020년 디지털 뉴딜 주요 성과 발표
- 등록일2021-01-15
- 조회수2155
-
발간일
2021-01-1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디지털 뉴딜
- 첨부파일
과기정통부, 2020년 디지털 뉴딜 주요 성과 발표
- 디지털 뉴딜 1조 6천억원 투자(인재양성·디지털 포용 포함)를 통해 중소기업 1만개사를 포함한 1.2만여개 기업·기관과 4.9만여 인력 참여
- 소프트웨어(SW)·시스템통합(SI) 기업이 데이터·인공지능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 거듭나며 非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디지털 뉴딜 참여 확대
- 공인전자서명제도(공인인증서)는 폐지했고, 디지털서비스 계약은 새로운 계약 제도로 정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뉴딜 사업 중, `20년 추진된 과기정통부 소관 사업들에 대한 진행상황과 이를 통한 변화를 종합하여 1월 14일 발표하였다.
□ 디지털 뉴딜은 관계부처가 함께 ‘25년까지 국비 44.8조원을 투자해 코로나 경기침체와 일자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혁신 프로젝트”로,
ㅇ 그 중 과기정통부 소관 사업들의 주요 성과는 아래와 같다.
◇ [종합] 과기정통부는 ’한국판 뉴딜 계획‘ 발표(‘20.7月~) 이후
ㅇ `20년 디지털 뉴딜 예산 약 1.6조원*을 투입하여 81개 사업을 추진
* 본예산 8,007억원, 3차추경 예산 8,046억원(인재양성·디지털 포용 포함)
=> 국내 기업·기관 총 12,486개 社와 4.9만여 명 대규모 인력 참여
【 디지털 뉴딜 진행 현황 】
➊ 수혜 기업·기관 中 중소기업이 10,843개 社로 높은 비중(86.8%) 차지
➋ 국내 SW기업들의 데이터 · 인공지능 솔루션 공급 참여가 전년대비 각각 94%, 151% 증가
※ 데이터 바우처 공급기업 : `19년 393개 → `20년 765개(94% ↑)
인공지능 바우처 공급기업 : `19년 220개* → `20년 553개(151%↑)
* 국내 인공지능 중소·벤처기업 현황 조사(‘19.12)
➌ 非 ICT기업의 디지털 전환 참여 85% 증가
※ 인공지능·데이터·클라우드 바우처 활용사업 참여기업 중 非 ICT기업 `19년 2,024개사 → `20년 3,751개사
➍ 데이터 댐 40,105명을 포함하여 관련 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디지털 일자리 참여인력 49,157명
➎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디지털 인재 1.4만명 육성
➏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디지털배움터 1,000개소 운영 및 21.3만명 교육
➐ 공인전자서명제도(공인인증서) 폐지(`20.12月), 디지털서비스 계약제도는 도입(`20.10月) 이후 3개월만에 21개 사업, 5백억원 규모의 계약 체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