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 신약 기술수출 역대 최대성과로 이어져

  • 등록일2021-01-25
  • 조회수2051
  • 발간일
    2021-01-25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복지부#연구개발#신약#기술수출
  • 첨부파일
    • pdf [1.25.월.조간]_보건복지부_보건의료_연구개발(RD)_투자__신약_... (다운로드 11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 신약 기술수출 역대 최대성과로 이어져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대행 김초일)의 지원을 받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2020년 글로벌 기술수출 건수는 총 6건으로 약 6.8조 원 규모라고 밝혔다.

ㅇ 이는 제약바이오협회(협회장 원희목)에서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2020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수출 계약금액인 총 10조1492억 원의 6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복지부 신약개발분야 R&D사업의 주요 기술수출 성과(’20)

년월

기업명

제품(물질)

종류

기술이전 금액(선급금)

기술이전 기업

정부 지원사업

‘20.06

알테오젠

ALT-B4

플랫폼기술

피하주사 원천기술

4조 원 7,000억 원

(192억 원)

글로벌 10대 제약사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사업*

‘20.08

유한양행

YH12852

기능성

위장관질환 치료제

4,872억 원

(24억 원)

미국/프로세사파마수티컬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20.10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치료제

5,788억 원

(545억 원)

일본/오노약품공업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사업*

‘20.10

보로노이

VRN07

돌연변이 비소세포암·고형암 치료제 후보 약물

7,200억 원

(148억 원)

미국/오릭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20.12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LCB67

항암제 ADC* 후보물질 LCB67

*Antibody-Drug Conjugate

3,255억 원(105억 원)

미국/픽시스온콜로지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 3개 부처(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공동지원

□ 특히, 알테오젠, 보로노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같은 바이오 벤처기업이 전체 대비 84%로 강세를 보였다.

ㅇ 바이오벤처기업이 개발한 원천기술과 신약 후보물질을 글로벌 제약사가 기술이전 받아 개발하는 개방형혁신(오픈이노베이션) 성과가 주를 이루고 있다.

□ 알테오젠의 ALT-B4는 정맥주사용 항체 및 단백질 의약품의 제형을 피하주사용 의약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인간 재조합 히알루론산 분해효소이다. 

ㅇ 알테오젠에서 자체개발한 피하주사 제형변형 플랫폼 기술(Hybrozyme)*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플랫폼기술 활용을 통해 향후 추가 기술수출이 기대된다.
* Hybrozyme Technology 원래 효소의 고유한 작용기작을 유지하면서 단백질 구조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단백질공학 기술

□ 유한양행의 YH12852는 위장관질환 치료제로 국내 전임상 독성‧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뒤 미국에 기술이전 되어 2021년 중 미국에서 임상 2상 시험이 진행될 계획이다. 

□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는 뇌전증 치료제로 우리나라 최초로 후보물질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개발, 판매허가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하였다. 

ㅇ 최근에는 일본에 최대 5,788억 원(계약금 545억 원, 상업화 달성 기술료 5,243억 원 및 로열티)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를 거두는 등* 향후 국내 최초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매출 1조 원 이상) 달성이 전망된다.
* (이전성과) 미국식품의약국(FDA) 판매 허가 획득(제품명 엑스코프리™, XCOPRI®), ‘19년 2월 스위스 아벨 테라퓨틱스에 총 5억3000만 달러 규모 실시계약


□ 보로노이사의 VRN07은 유전자(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비소세포폐암에 선택적으로 작용 가능한 신약 후보약물이며, 일반 항암치료로 고통받는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고형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의 LCB67은 세포 폐암, 간암 및 다양한 고형암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신약후보물질이다. 
 
ㅇ 자체개발한 차세대 플랫폼 기술 ADC(항체-약물 복합체; Antibody-Drug Conjugate)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작년에만 LCB67을 포함하여 차세대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총 4개 후보물질의 미국, 중국, 유럽 등 글로벌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 보건복지부 현수엽 첨단의료지원관 직무대리는 “민간기업의 도전적인 연구개발(R&D)과 과감한 투자가 있었기 때문에 역대 최대 기술수출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비록 민간투자 규모에 비해 작은 규모이나 꾸준한 보건복지부 R&D지원사업은 신약개발 위험을 분담해주는 혁신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ㅇ 또한 “2021년부터는 신약개발 기초연구부터 사업화까지 부처간 칸막이를 제거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을 통해 전주기적 지원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