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연구재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 본격 시동

  • 등록일2021-03-04
  • 조회수1927
  • 발간일
    2021-03-04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재료 생태계#연구재료
  • 첨부파일


연구재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 본격 시동

- 2021년「연구재료 개발‧확산 지원사업」신규 추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연구재료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여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 및 성과 고도화에 기여하기 위한「연구재료 개발‧확산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기초연구를 통해 창출된 유망한 물질은 연구현장에 연구재료로 개발‧보급되어 과학기술 발전과 소재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으나,

 

 ㅇ 연구재료에 대한 상용화 지원 부재로 우수한 연구 성과물이 사장되는 경우가 많고, 외국기업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어 국내 연구재료 생태계 조성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 시약 및 실험용 소재 시장은 머크, 바스프 등이 세계시장을 과점

 

□ 본 사업은 연구재료 개발, 상용화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기초 연구 성과물의 활용성 강화 및 유통 활성화를 통한 연구재료 시장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ㅇ 연구개발 과정에서 소요되는 고품질의 전문 실험시약, 유‧무기 재료, 연구장비 관련 표준물질 등을 지원하되,  

 

 ㅇ 공공연구성과와 연구개발 현장 수요를 조사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한 6개 분야 전략품목을 중점 지원하여 사업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연구재료의 유형별 전략품목

유 형

전략품목명

설명

원료용

연구재료

메타물질

기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하는 매우 작은 크기의 금속 또는 유전물질로 설계된 메타원자의 주기적 배열로 이루어진 물질

패러독스형

슈퍼물질

초경량/고강도, 초미세/고용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계 극복을 지원하는 고기능성 연구 재료/물질

공정용

연구재료

수퍼촉매 물질

화학적/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거나, 기존 공법의 한계를 넘는 수율 등의 구현이 가능한 촉매용 연구재료

메조다공성 물질

금속, 실리카, 폴리머 등으로 제조된 다공성 구조체로 높은 비표면적, 흡착성, 균일 기공구조로 화학, 생화학 공정 연구 기반 재료

분석용

연구재료

표준·기준 물질

분석용 또는 분석장비용으로 사용되는 단결정 또는 초고순도의 금속·세라믹 물질 및 유무기 화합물 재료

바이오의학연구

분석용 시약

유전체/전사체 분석시약 등 바이오, 의학 연구에 사용되는 전문 시약으로 신규개발 또는 국산화가 필요한 연구재료

 

 

□ 연구재료 개발‧확산 지원사업은 기초연구 성과를 토대로 고부가연구재료를 개발하는 ①연구재료 개발 사업, 연구현장 수요를 기반으로 상용화 목적의 추가연구를 지원하는 ②연구재료 상용화 사업, 국산 연구재료 활용 촉진을 위한 ③연구재료 확산 지원사업으로 구성된다.

  ※ ‘①연구재료 개발’(2억원 이내, 최대 3년 지원), ‘②연구재료 상용화’(6억원 이내, 최대 2년 지원), ‘③연구재료 확산 지원’(‘22년 이후 추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권석민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연구재료 개발‧확산 지원사업」으로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연구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발된 소재가 산업용으로 파급되어 국내 소재 분야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통부는 3월 5일 사업공고를 시작하고, 4월 5일까지 과제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ㅇ 사업 공고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홈페이지(www.compa.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연구재료 개발‧확산 지원」사업 주요내용


□ 사업 개요

 ㅇ (목적) 연구재료 개발, 상용화 R&D 지원을 통한 기초 연구 성과물의 활용성 강화 및 유통 활성화를 통한 연구재료 산업 생태계 조성

  ※ 동식물, 인체유래, 미생물 등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21∼)에서 지원하고 있는 분야는 대상에서 제외

 ㅇ (사업 기간) ’21년 ∼ ’26년(6년)

 ㅇ (사업 규모) 총 482억원(국비 427억, 민자 55억)

 

□ 주요 내용

 ㅇ 연구재료 개발 : 9억원(6개 과제), 최대 3년

   - 기초연구 성과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연구재료 개발 R&D를 지원하여 고부가가치 전문 연구재료 개발

 ㅇ 연구재료 상용화 지원 : 12억원(3개 과제), 최대 2년

   - 연구재료 현장 수요를 기반으로 연구재료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개발 목적(수율향상 등)의 추가 연구개발 지원

 ㅇ 연구재료 확산 지원 (’22년 추진 예정)

   - 전담기관을 지정하여 연구재료 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운영, 고품질 연구재료 성능 검증 및 기술 지원, 판로개척을 위해 기업(공급자)과 연구현장(수요자)의 실효성 있는 협력 체계 등 추진

□ 향후 일정

 ㅇ 사업 선정 공고(’21.3.5~4.5) → 선정평가(’21.4월) → 사업 수행(’21.4월~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