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해외 기술규제 정보, 한눈에 본다

  • 등록일2021-04-07
  • 조회수2138
  • 발간일
    2021-04-06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외#기술규제
  • 첨부파일
    • hwp 0405(6석간)기술규제정책과 해외 기술규제 정보 한눈에 본다.hw... (다운로드 9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해외 기술규제 정보, 한눈에 본다 
 - 국표원,“해외기술규제맵”서비스 본격 개시 -
- 기업수요가 많은 59개 인증제도, 260개 기술기준 상세 정보 제공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기업이 수출상품에 대한 해외 기술규제 정보를 국가별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해외기술규제맵] 서비스를 2021년 4월 6일부터 개시한다고 밝혔다.
 ㅇ 수출상위 10개국*의 10개 유망수출 품목**에서 강제 규제하고 있는 전기안전, 전자파, 유‧무선통신, 에너지효율, 유해물질 등 59개 인증제도와 260개 기술기준에 대한 상세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 (국가)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인도, 대만, 싱가폴, 멕시코, 필리핀, 말레이시아
 
  ** (품목) 전기차충전기, 전기차배터리, 초음파영상진단기, 태양광 모듈, 가정용 에어컨, 가정용 냉장‧냉동고, LED램프, 스마트TV 등 신산업분야 수출유망 품목
 
   < 해외기술규제맵 제공 정보 내용 >

정보 종류

상세 내용

인증제도

인증절차, 규제인증시험 기관, 규제대상품목군, 명칭(/영문), 인증마크, 관련법령 및 출처(URL)

기술기준

적용되는 품목(명칭, HS코드 6자리), 문서번호, 공표년도, 관련 국제표준, 명칭(/영문), 출처(URL)

기술규제

개정 현황

개정 중인 신설강화 기술규제에 대해, WTO협정에 따른 통보문 또는 발굴된 미통보문에 대한 분석 자료


 
 ㅇ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해외 기술규제 정보를 추가로 요청하거나, 자체 보유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 사용자의 참여‧소통 기능도 제공한다. 
 
우리 수출기업이 개별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품목에 적용되는 무역기술장벽(TBT)* 정보를 조사‧분석하는 데는, 규제정보 비공개 관습, 비영어권 국가의 자국어 사용 등으로 제한적이며,
 
   * 무역기술장벽(TBT, Technical Barriers to Trade) : 국가 간 서로 다른 기술기준, 표준, 시험인증 절차 등을 적용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하는 무역 장애 요소
 
 ㅇ TBT 극복을 위해 대부분의 중견‧중소기업들이 자체 해결보다는 외부 지원받고 있고, 일부 기업은 수출을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 TBT 애로 발생 시, 자체 해결(63.8%)보다는 외부 지원(외부위탁 48.2%, 정부지원 30.8%) 또는 수출 포기(6%) <출처: 552개 대·중·소기업과 협단체 설문조사, ‘20.12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그간 국표원은 새롭게 제‧개정되는 해외 기술규제 정보를 신속히 전파하고자, WTO TBT 통보문을 KnowTBT 포털을 활용하여 우리 수출기업에 제공했으나, 
 
 ㅇ 수출기업이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인증의 종류, 인증획득 절차, 시험‧인증기관, 제품 시험방법 등 현재 시점에서 유효한 기술규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ㅇ 이러한 애로를 해소하고자, 국표원은 현행 인증제도, 현지 시험‧인증기관명, 세부 기술기준 그리고 관련 기술규제의 제‧개정 현황을 한눈에 파악이 가능한 [해외기술규제맵(http://KnowTBT.kr)]을 구축하여 4월 6일부터 본격 서비스를 개시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해외기술규제맵]이 TBT대응 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 기업에게 TBT정보 갈증을 해소해주는 우물 같은 역할”을 기대하면서, 
 
 ㅇ“현재 수출상위 10개국의 기술규제 정보를 시작으로, 향후 수출시장 진출의 가능성이 큰 신남방‧신북방과 남미 지역 국가로 확대하는 등 관련 정보를 지속해서 업데이트‧개선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