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중소·중견기업 화학물질 안전관리 지원사업 신규 추진

  • 등록일2021-04-20
  • 조회수2059
  • 발간일
    2021-04-19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소중견기업#화학물질#안전관리#지원사업#산통부
  • 첨부파일
    • hwp 0416(19조간)산업환경과 중소중견기업 화학물질 안전관리 지원사... (다운로드 18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중소·중견기업 화학물질 안전관리 지원사업 신규 추진
 
- (사업내용) 화학물질·소재 유해성평가 지원 및 사업장별 
안전관리 점검·시설개선·자문 등 지원 -
 
- (지원규모) 올해 44억원 → 5년간 총 591억원 지원 -
 
- (기대효과) 유해성평가 기간 30% 단축, 비용 75% 절감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제조분야 친환경관리 인프라 구축」 사업을 공고하고, 사업수행 주관기관과 사업대상 지역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ㅇ 동 사업은 화학물질·소재를 사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21년 국비 44.13억원, 5년간 총 59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ㅇ 화학기반의 석유화학, 바이오, 이차전지 등 지역별 특화산업을 핵심적으로 육성 중인 3개 산단을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 주요 지원 사항은 ①유해물질 확인·저감을 위한 ‘OPEN LAB 방식의 성능평가’, ②소규모 사업장 등의 사고 방지와 자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관리 통합지원프로그램’ 운영이다.
< 「제조분야 친환경관리 인프라구축」 사업 개요 >
‣ 사업기간 : ‘21~’25년(5년간)
‣ 지원규모 : 총 591억원(국비, 지방비, 민자 포함)
‣ 지원내용 : ① OPEN LAB 성능평가(연 100건), OPEN LAB 기업지원센터 3개소 구축, ② 사업장 안전 통합지원프로그램 운영(모니터링시스템 보급・시설개선・컨설팅)
‣ 추진일정(안) : 사업공고(4월) → 평가・선정(5월) → 협약・사업착수(5~6월) 
 
 
 
【OPEN LAB】친환경적 소재의 개발과 물질 유해성 확인·저감 등을 위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맞춰 3개 OPEN LAB센터에 54종의 장비를 구축하고, 5년간 총 500건의 성능·시험평가를 지원한다.  
 
  * OPEN LAB 운영 : 개방형 실험실로 일정 교육을 이수한 기업의 직원들이 장비 예약 후 언제든 자유롭게 이용, 고난도 시험평가는 숙련된 전담연구원이 지원
 
 ㅇ 국제환경기준과 유해성 성능·시험평가 관련 EU REACH·RoHS·ERP, 국내 화평법 등의 대응 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 비용ㆍ시간 제약으로 소규모 기업에서 활발하지 못했던 R&D단계별 유해성 검증과 수입소재 pretest 등에 대해서도 지원할 계획이다.
 
 ㅇ 저비용으로 24시간·주말 이용이 가능한 OPEN LAB 시스템은 유해성 평가 관련 기업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지원 방식으로, 
 
   - 평균 3개월 이상 소요되는 시험대기기간은 30%, 비용은 사업기간 중 75%, 사업 종료 후에도 20% 이상 절감될 예정으로 유해성 평가와 관련된 그 간의 기업 애로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전관리통합지원】안전분야 투자가 어려운 소규모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①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보급, ②노후화, 고위험 시설의 개선, ③컨설팅 등 3종의 사업장 안전 통합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한다.
 
 ㅇ 특히, 모니터링시스템은 기존의 사외배관, 도로, 공공시설 등 사업장 외부 관측 방식과 차별화 하여 사업장 內 유해물질 취급시설에 대해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하였다.
 
   * 모니터링 SW, 유해물질 누출 감지, 지진・침하감지, 화재・이상반응 온도 감지 등
 
 ㅇ 이러한 패키지형 연계 지원을 통해 중소사업장의 자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와 안전 관련 규제 대응에 대한 기업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수성 산업정책관국내·외 환경규제 대응과 사업장 안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며,
 
 ㅇ 기업수요에 기반한 새롭고 차별화된 방식으로 기획된 본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통해 “제조기업이 연구개발, 생산·수출에 집중할 수 있는 산업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공고 관련 세부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 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