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제7차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 등록일2021-05-26
- 조회수1824
-
발간일
2021-05-2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산업통상자원부#과기부
- 첨부파일
제7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 소부장 특화단지, 으뜸기업 맞춤형 지원방안 확정, 본격 육성 추진
- 차량용반도체·희토류 등 핵심품목 관련 기업간 협력사업 8건 승인
- 소부장 특화단지, 으뜸기업 맞춤형 지원방안 확정, 본격 육성 추진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5.25일(화) 14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하여 총 6건의 안건을 논의·확정하였다고 밝혔음
< 제7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개요 >
ㅇ (일시/장소) ’21.5.25(화) 14:00∼15:30 / 정부서울청사
ㅇ (참석) 경제부총리(위원장) 산업부 장관(부위원장), 관계부처 장관, 민간위원
ㅇ (안건) ① 기업 간 협력사업(모델) 승인에 관한 건②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방안③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맞춤형 지원방안④ 소재·부품·장비 미래선도품목 연구개발(R&D) 추진방안⑤ (서면) 탄소소재 융복합기술 종합발전계획⑥ (서면) 소재·부품·장비산업 수출입통계 관리·개선 방안
□ 금번 회의에서 위원들은 소부장 산업을 둘러싼 정책 환경과 향후 과제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였음
➊ 차량용반도체, 희토류 등 최근 글로벌 공급망 이슈가 대두된 품목에 대해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을 통한 대응방안을 논의함
➋ 소부장 산업의 당면 현안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특화단지 육성, 으뜸기업의 글로벌 벨류체인 진출 지원, 미래 연구개발(R&D) 이행안(로드맵) 등 미래 글로벌 공급망 선도를 위한 선제적 전략도 심도 깊게 논의함
➌ 소부장 특화단지·으뜸기업, 핵심품목 연구개발(R&D)방안 등 「소부장특별법」 및 「소부장2.0대책」에 근거한 주요 정책이 완결성을 갖추게 된 것을 평가하고 본격 추진해나가기로 함
< 정책 추진 경과 >
구분 |
안건명 |
주요내용 |
특화단지 |
①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계획 (’20.4) |
· 추진계획 |
②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안 (’21.1) |
· 5개 단지 지정안 보고 |
|
③ 소부장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방안 (’21.5) |
· 단지별 지원방안 |
|
으뜸기업 |
① 특화선도기업 육성방안 (’20.4) |
· 추진계획 |
② 으뜸기업 맞춤형 지원방안 (’21.5) |
· 기업별 지원방안 |
|
핵심품목 연구개발(R&D)방안 |
① 소부장 연구개발(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19.8) |
· 대(對)일본 연구개발품목 100개 |
②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 (‘20.10) |
· 대(對)세계 연구개발품목 85개 |
|
③ 소부장 미래선도품목 연구개발(R&D) 추진방안(’21.5) |
· 미래선도품목 65개 |
◇ 소부장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방안
□ 정부는 5개 소부장 특화단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확정하고, “가치사슬(밸류체인) 완결형 글로벌 협력지구(클러스터)” 구축을 본격화하기로 함
* 경기(반도체), 전북(탄소소재), 충북(이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 경남(정밀기계)
□ 5개 특화단지는 제4차 경쟁력강화위원회(’20.5)에서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계획”을 확정한 이후, 지자체 공모(’20.6)와 외부평가, 경쟁력위원회 심의(’21.1) 등을 거쳐 지정을 완료(‘21.2.23)하였으며,
ㅇ 금번에는 그 후속조치로 5개 단지별 특성을 고려한 세부 지원방안을 확정한 것임
< 단지별 여건 분석 >
□ 먼저, 경기 용인 반도체 협력지구(클러스터)는 ‘21년 착공을 거쳐 ’25년 준공 예정인 점을 감안하여, “케이(K)-반도체 대책(5.13일)”에 따라 용수확보, 폐수처리 등 기반설비 구축을 선제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임
ㅇ 아울러 소부장 기업의 성장도약을 위해 필수적인 가늠터(테스트베드)를 용인 협력지구(클러스터) 구축전과 후로 나눠 2단계*로 조성하고,
* 1단계(요소기술 검증), 2단계(양산성능 평가)
ㅇ 입주기업 선정시 가치사슬 분석 지원을 통해 경기 특화단지가 “가치사슬 완결형 협력지구”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
ㅇ 또한, 단지내 협력기업이 다수 참여하는 공동 연구개발(R&D)을 통해 단지내 연대와 협력 생태계도 조성을 추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