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나노융합2020사업,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
- 등록일2021-06-09
- 조회수1816
-
발간일
2021-06-08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융하#소부장경쟁력#바이오소부장
- 첨부파일
「나노융합2020사업,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소부장 관련 사업화매출액 약 7,000억원, 투자 대비 490% 성과 -
- 과기정통부·산업부 차관, 나노기술사업화를 위한‘함께달리기’지속하기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은 2012년부터 9년 간 협업해온 ‘나노융합2020사업(단장 박종구)’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 「최종 성과보고회」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 나노융합2020사업 최종 성과보고회 개요 】
▪ 일시·장소: 6.8(화), 15:00∼16:05 / 밀레니엄힐튼호텔(서울역근처)
▪ 참석자: 과기정통부·산업부 차관, 나노분야 산학연 관계자 70여명
|
□ ‘나노융합2020사업’은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단일사업단을 구축, 공공부문이 보유한 나노기술의 성과를 산업계의 신제품 아이디어와 연결하여 조기 사업화를 지원해온 사업이다.
ㅇ (경제·과학적 성과)지난 ‘12년부터 ’20년까지 1,437억원이 투자되었으며, 정부 투자액 대비 490%인 사업화 매출액 7,050억원(사업기여율 반영 금액, ‘21.3월기준), 사업화 성공기업 51개, 사업화 제품 85건, 특허 출원 426건‧등록 191건, 고용창출 740명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 또한 전산업에 생산유발액 1조 5백억원(타산업 생산유발액 3천500억원 포함)과 부가가치유발액 4천억원, 취업자수 2,750명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되었다.
* 나노융합2020사업 성과분석보고서(경상국립대, ‘21.4.30)
ㅇ (정책적 성과) 나노기술(NT)은 범용 기반기술로서, 다양한 기술·제품과의 융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동 사업은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하여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바가 컸다.
* 지원과제(93개)의 95%가 소부장 관련(소재 70%, 부품 5%, 장비 20%)
- 뿐만 아니라 NT-IT, NT-BT, NT-ET 등 기술간 융합으로 빅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 한국형 뉴딜, 탄소중립 등 정부정책과 연계된 성과 창출에도 이바지하였다.
ㅇ (사업화플랫폼 성과) 동 사업은 실질적인 기술사업화 성과달성뿐만 아니라 기술사업화를 효율적으로 견인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였다. 나노융합2020사업 지원기업 대상 조사결과*, 사업화 기간을 30개월 이상 단축(56개월 → 26개월)하는 획기적 결과를 보여줬다.
* 나노융합2020사업 성과분석보고서(경상국립대, ‘21.4.30)
- 특히 동 사업의 기업지원플랫폼인 나노융합2020사업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20.12)에서 첨단소재 분야의 혁신협력플랫폼, 그 중 지식재산권 중개(IP leveraging) 부분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평가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