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내 백신 생산·원부자재 기업들이 글로벌 백신 강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한다

  • 등록일2021-06-18
  • 조회수1718
  • 발간일
    2021-06-17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백신#생산원부재#생산원료
  • 첨부파일
    • hwp [보도참고자료]글로벌_백신_허브_도약을_위한_백신기업_협의체_... (다운로드 7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내 백신 생산·원부자재 기업들이글로벌 백신 강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한다

- 한국의 백신 생산·공급능력 확대를 위한 「백신기업 협의체」 출범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한국의 백신생산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전 세계 백신 공급을 확대하고, 글로벌 백신 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하기 위한 기업 간 협력의 장인 백신기업협의체617() 코리아나 호텔에서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미 정상회담(5.21)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백신 기업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지난 64일 열린 백신기업 간담회(주재: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서 논의한 사항이 구체화된 것으로,

 

정부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프로젝트발맞추어 국내 백신기업들이 백신·원부자재 개발 및 생산역량을 한데모으기로 화답한 것이다.

 

이번에 출범한 백신기업 협의체에는 국내 백신산업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백신 생산·개발 및 원부자재 관련 대··소기업 30여 개와관련 협회*가 참여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간사기관으로 참여하여 전반적인 운영을 지원한다.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바이오협회, 글로벌의약산업협회

 

앞으로백신기업 협의체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통한 백신생산 가속화 및 전 세계 백신공급 확대라는 막중한 과제의 실현을 위정부-기업 또는 기업 협력을 촉진하는파트너로서 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정부·기업간 소통 촉진, 국내 백신 생산역량 제고, 원부자재 수급, 한미협상 공동대응백신 기업 측 대표로서 국내 백신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통한 글로벌 백신 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하는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정부와 기업또는 기업과 기업의 가교로서원부자재 수급 원활화, 백신생산역량 제고, 연구·개발 및 기술협력 등 협업과제를 도출하고, 이 과정에서 개별기업이 제시한 제도개선 과제 및 협력사항에 대해 정부와소통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백신기업의 가용한 역량을 결집하여 단기간에 국내 백신 생산이 가속화되도록 기업 간 상호보완적 컨소시엄*구성독려·지원하는 역할도 담당할 예정이다.

 

*(예시) A기업(기술)-B기업(생산 설비), C기업(원부자재)-D기업(원액·완제 충전) 협력 등

 

전 세계적인 의약품 원부자재 수급 불균형에 대응하여, 국내 백신생산가속화를 위한 원부자재 확보 전략을 마련·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원부자재 국산화를 목표로 과제를 발굴하여 추진하게 된다.

 

한편, 이날 백신기업 협의체에 참여한 기업·협회는 우리나라의 백신생산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에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상호협력한다는 취지의 공동협력선언문을 통해,

 

백신기업 간 컨소시엄 구성과 협력, 그리고 정부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백신 강국으로 우뚝 서는 날까지 함께 노력할 것을 선언하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권순만 원장은 개회사에서 오늘 이 자리를 통해 한국 백신 기업 간 협력체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 동반 성장함으로써 한국이 백신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은 축사를 통해 이번 백신기업 협의체출범을 계기로 코로나19를 조기에 종식시키고 대한민국이 글로벌 백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